오세훈이 키울 새 먹거리는 '뷰티 서울'
입력
수정
지면A33
화장품·미용 등 신성장동력오세훈 서울시장(사진)이 ‘서울형 뷰티산업’ 육성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서울시를 화장품·미용·성형 등 분야의 ‘글로벌 메카’로 발돋움시켜 도시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뷰티의 개념을 미(美)에만 국한하지 않고, 맛·엔터테인먼트 등으로 확장해 도시 전체의 매력을 높이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을 글로벌 뷰티 메카로"
서울시장 '2기 대표작' 육성
18일 서울시에 따르면 오 시장은 최근 “화장품·미용·성형 등 K뷰티 자산을 다른 한류 문화자산과 연계해 ‘아시아 뷰티도시 서울’로 도약할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하라”고 관련 부서에 지시했다. 시 관계자는 “사업을 추진할 세부 조직을 꾸리는 작업에 들어갔다”며 “연내 뷰티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오 시장 1기(2006~2011년) 시절의 핵심 키워드가 ‘디자인 서울’이었다면, 2기는 뷰티 서울로 방향을 잡는다는 방침이다. 오 시장은 2009년 “디자인이 서울을 먹여살리도록 하겠다”며 디자인산업 육성에 뛰어들었다. 동대문운동장을 없애고 세운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는 오 시장이 추진한 디자인 서울 사업의 대표작이다.
오 시장은 ‘디자인에 이어 뷰티산업이 서울의 강력한 성장동력이 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고 육성하자’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방역, 집값 안정 등의 현안도 중요하지만 미래 먹거리 마련도 소홀히 해선 안 된다는 게 그의 판단이다.
서울시는 내년부터 2026년까지 5개년에 걸친 ‘뷰티 서울 육성 관련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일종의 뷰티산업 특구를 조성하고, 관련 업체의 제품 개발 및 수출을 지원하는 방안 등이 담길 전망이다. 여기에는 미각, 후각 등 여러 측면에서 도시의 아름다움을 배가하는 방안도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내용은 오 시장이 이달 발표할 미래 구상인 ‘서울비전 2030’에도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는 2019년 기준 4996억달러(약 569조원)에 달한다. 서울엔 세계 100대 화장품 기업에 속한 한국 업체 네 곳의 본사를 포함해 국내 화장품 책임판매업체의 45.7%가 있어 육성 전략이 더욱 효과를 발휘할 것이란 게 서울시의 기대다.
일각에선 “박원순 시장 재임 시절 ‘도시 재생’에 집중하면서 한동안 주춤했던 도시경쟁력 확보 전략에 속도가 붙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오 시장은 “한때 서울의 위상과 도시경쟁력이 세계 10위권을 넘나들었는데 그동안 많이 추락했다”며 “서울비전 2030을 마련해 서울의 미래를 다시 꿈꿔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