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하기로 결정된 회사가 PEF에 팔린답니다" [차준호의 썬데이IB]
입력
수정
[마켓인사이트]≪이 기사는 07월19일(08: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직하기로 결정된 회사가 PEF에 팔린다는 데 회사를 옮기는 게 맞을까요?"한 독자로부터 받은 이메일에 한동안 멍했습니다. 인수·합병(M&A)과 사모펀드(PEF) 출입을 담당하면서도 선뜻 답장을 쓰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당장 PEF가 회사를 인수하면 ‘주먹구구’ 경영이 체계적으로 변하고, 글로벌 경험을 갖춘 CEO들이 속속들이 영입되고, 회사의 비효율적인 운영이 합리화되고…그간 취재현장에서 듣거나 기사로 써왔던 여러 이야기를 쓰다 지우다 반복했습니다.
당장 하루아침에 회사 주인이 PEF가 됐을 때 벌어질 일을 상상해 보았습니다. 대기업 배지를 떼는 순간 은행에서 전세 대출 이자율 앞자리가 바뀌었다는 문자를 받을 지도 모를 일입니다. “TV에서 보니 라임같은 곳이 사모펀드라는 데 어쩌다…”는 장모님 전화엔 뭐라고 답을 드려야 할까요. 이처럼 당장 현실이 눈앞에 다가온 직원들에 “회사가 7~8년 뒤 기업가치가 올라 좋은 회사에 다시 팔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위로가 될 수 있을까요.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7/01.26993377.1.jpg)
'고급 두뇌'인 PEF 인력들이 경영을 맡으면 꼭 회사가 좋아질까요. 베인캐피탈·골드만삭스는 익히 알려진대로 화장품회사 카버코리아를 유니레버로 매각해 '대박'을 거뒀습니다. 1년여만에 투입 현금 대비 6배 넘는 차익을 올렸습니다. 앤 해서웨이까지 모델로 기용하며 브랜드 AHC의 고급화에 성공한 점이 핵심이었습니다. 반면 중견 용기회사를 인수한 글로벌PEF A사는 북유럽 감성을 입히겠다며 아이폰 디자이너까지 수소문해 수십억원을 주고 컨설팅을 맡겼지만, 실적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직원들 사이에선 '헬로키티'를 덧입혀 대박을 낸 이전 오너보다도 못하다는 조롱들이 나왔습니다. 경영이 객관식 점수를 낼 수 있는 일도 아니다 보니 누가 더 실력이 있는가를 명확하게 가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나마 오랜기간 PEF 자문을 맡아온 한 취재원은 인수 회사를 좋게 만드는 PEF와 망치는 PEF의 감별 기준으로 '이해관계 일치·목표의 단순화' 능력을 꼽았습니다. 국내 PEF운용사가 얼마나 빠르게 커지는 지도 결국 이를 촘촘하고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역량에 비례한다는 게 해당 인사의 신념이었습니다.
성과에 따라 임직원들이 '돈쭐'날 수 있는 점도 PEF가 새 주인이 됐을 때 매력 중 하나입니다. 카버코리아 브랜드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1등 공신으로 평가된 모 임원은 회사 매각 이후 100억원 대 현금을 보너스로 받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차석용 LG생활건강 부회장 연봉의 3배가까운 금액을 한꺼번에 받은 셈이죠. (물론 당시 PEF 직원들도 떼돈을 벌었습니다. 워낙 매각 차익이 컸던 탓에 당시 PEF 내에서 회사 인수를 지휘했던 상무급 인사 한 명은 미련없이 30대에 '은퇴'를 선언할 정도였다고 합니다.)
차준호 기자 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