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를 '금융팬덤'으로…카뱅 회원 1600만명, 토스 가치 8조 돌파
입력
수정
지면A5
MZ세대發 금융변혁카카오뱅크는 지난해 10월 만 14~19세 전용 상품 ‘카카오뱅크 미니’를 내놨다. 본인 명의 계좌나 주민등록증이 없는 10대에게 일종의 가상계좌(선불 전자지급수단)를 발급해주는 서비스다. ‘엄카’(엄마 카드) 말고 ‘내 카드’를 쓰고 싶어했던 청소년들은 열광했다. 입금, 송금, 더치페이, 온·오프라인 결제, 교통카드 등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난달 말까지 카카오뱅크 미니에 가입한 청소년은 85만 명. 국내 만 14~19세 인구의 39%에 이른다. 스마트폰에 누구보다 능숙하지만 비대면 금융에서는 소외됐던 Z세대를 제대로 파고든 ‘틈새 전략’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2) 은행·증권계 판 바꾼 '두마리 메기'
'엄카' 대신 내카드 쓰고 싶어요
10대 전용상품 내놓자 '열광'
KB스타뱅킹엔 10년 걸린 가입자
카카오뱅크는 3년여 만에 이뤄
토스, MTS혁신 '주린이' 잡아
3개월 만에 300만 계좌 돌파
가입자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
은행권 상식 뒤엎은 ‘카뱅 PBR’
초고속 성장을 하고 있는 핀테크·빅테크 기업들의 특징은 ‘미래 고객’ MZ세대(밀레니얼+Z세대)를 꽉 잡았다는 점이다. MZ세대가 경제활동의 주류로 올라서면 이들을 선점한 금융회사들이 시장 판도를 바꿀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카카오뱅크 가입자의 63%, 토스는 56%가 30대 이하다. 케이뱅크의 가입자 평균 연령은 34.8세이며 갈수록 낮아지는 추세다.금융 분야에서 ‘데카콘 기업(기업가치 100억달러 이상 신생기업)’에 진입했거나 목전에 둔 곳만 3~4개에 이른다. 카뱅, 토스,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등이다. 이들이 높은 평가를 받는 가장 큰 이유는 성장성이다. 앱의 편리성과 친숙함도 무기다. 윤호영 카카오뱅크 대표는 20일 기자간담회에서 “마케팅비를 다른 사업자의 10분의 1밖에 쓰지 않는다”며 “차별화된 고객 경험과 높은 만족도를 통해 달성한 성과”라고 강조했다. 국민은행이 ‘KB스타뱅킹’ 앱의 사용자 1600만 명을 확보하는 데 10년이 걸렸다. 이에 비해 카뱅은 3년여 만에 1600만 명을 모았다.상장을 앞둔 카뱅의 공모가 범위는 3만3000~3만9000원이다. 최고가로 상장하면 시가총액이 18조5000억원에 이른다. 은행, 증권, 보험, 카드사 등을 모두 거느린 KB금융지주(21조1230억원) 신한금융지주(19조3983억원)에 이은 시총 3위고, 은행만 놓고 보면 1위다. 카뱅 상장주관사들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의 3.7배 수준으로 주가를 책정했다. SK증권에 따르면 국내 은행주 역사상 가장 높은 PBR은 1999년 6월 주택은행(국민은행)이 받은 2.36배였다. 현재 은행 지주회사들의 PBR은 0.3∼0.5배에 불과하다. 구경회 SK증권 연구원은 “성장성, 비대면, 플랫폼 등의 프리미엄을 반영하면 카뱅에는 은행주 역사상 가장 높은 밸류에이션이 적절하다”고 했다.
‘세계 유일 슈퍼 앱’ 만드는 토스
토스의 기업가치는 4년 전 1300억원이던 것이 지난해 3조원대, 지난달 8조원대에 올라섰다. 토스는 올 5월 가입자 2000만 명을 돌파했는데 역시 MZ세대가 핵심 동력이다. 국내 14~19세 인구의 43%, 20대의 80%, 30대의 66%가 토스 회원이다.카뱅이 은행권에 ‘메기 효과’를 불러왔다면 토스는 증권사 모바일주식거래시스템(MTS)의 혁신 경쟁에 불을 붙였다. 토스증권은 주식 초보도 쉽게 쓸 수 있는 직관적 사용법으로 3개월 만에 300만 개의 계좌를 확보했다. MTS 분야 1위인 키움증권 영웅문을 위협한다. 증권사들도 MTS를 재구축하기 시작했다.네이버파이낸셜은 기존 네이버 가입자 기반을 흡수해 고속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올 상반기 네이버페이로 이뤄진 결제액은 17조7000억원으로 추산된다. 2년 전 같은 기간(9조1000억원)보다 두 배 가까이로 불어났다.
“전통 은행, 본질적 리스크 직면”
신용평가회사 무디스는 지난 12일 “인터넷은행의 빠른 성장이 국내 전통 은행들의 수익성과 시장 지위를 위협하고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인터넷은행들은 개인 신용대출에 주력하고 있지만 주택담보대출, 중소상공인 대출 등으로 확장을 예고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기존 은행과 경쟁하는 영역이 전체 원화대출 시장의 14%에서 65%로 넓어진다. 무디스는 “전통 은행들은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불리한 입지에 있다”며 “프라이싱(pricing)과 여신심사 정책을 본질적으로 바꿔야 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임현우/이현일 기자 tard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