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개 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성장·세수 낙관 못한다
입력
수정
지면A35
막대한 유동성으로 빠른 회복세를 보이던 세계경제가 델타 변이라는 복병을 만나 다시 ‘시계(視界) 제로’로 빠져들고 있다. 미국이 확진자가 급속하게 늘어난 영국 인도네시아 등에 대한 여행 경보를 최고 등급으로 올리는 등 주요국과 기업들이 속속 재봉쇄에 나서고 있어서다.
오는 9월 재택근무를 끝내려던 애플은 최소 한 달간 연기하기로 했고, 코로나 이후를 기대하던 항공사들도 다시 비상이 걸렸다. 3분기부터 정상 경영으로 복귀하려던 국내 기업들도 속속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의 베트남 호찌민 인근 사업장이 확진자 발생으로 가동을 일시 중단하는 등 해외 생산기지 셧다운 우려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금융시장도 발작을 보이고 있다. 경기둔화 우려로 19일 2% 넘는 급락세를 보인 미국 다우지수는 20일 반등에 성공하긴 했지만 추가하락 공포가 여전하다.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유가도 급락세로 돌아섰고, 미 국채금리 역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백신도 만능이 아니라는 지적까지 나오면서 세계경제가 2분기 정점을 찍고 다시 코로나 초기 같은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문제는 위기 극복을 위해 풀린 유동성으로 이미 글로벌 인플레이션 조짐이 뚜렷한 상황에서 경기가 급락하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 미국 월가에서는 2분기 9.1%로 치솟았던 미국 경제성장률이 4분기에는 3.3%까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분기 7.9%였던 중국의 성장률 역시 3분기 6%대, 4분기 5%대로 주저앉을 것이란 예측도 제기된다. 우리 정부가 목표로 잡은 올해 4.2% 성장도 불투명해졌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다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내수까지 타격이 불가피해 3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있어서다.
걱정되는 것은 경기 급락 시 인플레 압력이 커도 추가 침체 우려로 유동성 흡수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칫 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지속되는 스태그플레이션 장기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럴 경우 재정 투입은 경기는 못 살리면서 물가를 자극하고 나랏빚만 늘릴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세수까지 줄면 정부가 예상하는 31조5000억원의 초과 세수도, 이를 토대로 한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줄줄이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코로나 재확산으로 글로벌 경제는 중대한 국면을 맞고 있다. 막연한 낙관론으로 돈 풀 궁리만 하다간 정말 큰코다칠 수 있다.
오는 9월 재택근무를 끝내려던 애플은 최소 한 달간 연기하기로 했고, 코로나 이후를 기대하던 항공사들도 다시 비상이 걸렸다. 3분기부터 정상 경영으로 복귀하려던 국내 기업들도 속속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의 베트남 호찌민 인근 사업장이 확진자 발생으로 가동을 일시 중단하는 등 해외 생산기지 셧다운 우려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금융시장도 발작을 보이고 있다. 경기둔화 우려로 19일 2% 넘는 급락세를 보인 미국 다우지수는 20일 반등에 성공하긴 했지만 추가하락 공포가 여전하다.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유가도 급락세로 돌아섰고, 미 국채금리 역시 큰 폭으로 떨어졌다.
백신도 만능이 아니라는 지적까지 나오면서 세계경제가 2분기 정점을 찍고 다시 코로나 초기 같은 침체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문제는 위기 극복을 위해 풀린 유동성으로 이미 글로벌 인플레이션 조짐이 뚜렷한 상황에서 경기가 급락하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치달을 수도 있다는 점이다.
실제 미국 월가에서는 2분기 9.1%로 치솟았던 미국 경제성장률이 4분기에는 3.3%까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분기 7.9%였던 중국의 성장률 역시 3분기 6%대, 4분기 5%대로 주저앉을 것이란 예측도 제기된다. 우리 정부가 목표로 잡은 올해 4.2% 성장도 불투명해졌다. 글로벌 경기 둔화에다 코로나 4차 대유행으로 내수까지 타격이 불가피해 3분기 성장률이 마이너스로 추락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있어서다.
걱정되는 것은 경기 급락 시 인플레 압력이 커도 추가 침체 우려로 유동성 흡수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칫 경기침체 속 물가상승이 지속되는 스태그플레이션 장기화로 이어질 수도 있다는 얘기다. 그럴 경우 재정 투입은 경기는 못 살리면서 물가를 자극하고 나랏빚만 늘릴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세수까지 줄면 정부가 예상하는 31조5000억원의 초과 세수도, 이를 토대로 한 2차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줄줄이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코로나 재확산으로 글로벌 경제는 중대한 국면을 맞고 있다. 막연한 낙관론으로 돈 풀 궁리만 하다간 정말 큰코다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