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스베이거스를 '마이스 도시'로 바꾼 카지노 재벌
입력
수정
지면B5
지난 1월 87세로 타계한 미국 라스베이거스 샌즈그룹(LVS)의 셸던 아델슨 회장(사진)은 ‘카지노 재벌’로 유명하다. 라스베이거스와 마카오, 싱가포르에서 카지노 사업으로 40조원(약 359억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부를 축적한 사업 이력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그가 6·25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이라는 사실이 가려질 만큼 ‘카지노 대부’ 이미지는 강렬하다.
그런 그에게는 또 다른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가난한 이민자 가정 출신인 아델슨은 미국 사회에서 아메리칸드림의 상징적 인물로 꼽힌다. 약물중독자와 이민자를 위해 매년 수백만달러를 쾌척한 자선사업가,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 사회운동가로도 불린다. 코로나19 사태 초기 라스베이거스가 마스크 부족 사태를 겪자 자비로 전세기를 띄워 중국에서 마스크를 공수해온 일화는 유명하다.여기에 하나 더 있다. 라스베이거스를 비즈니스와 관광이 어우러진 마이스(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도시로 탈바꿈시킨 선구자라는 타이틀이다. 카지노 재벌이기에 앞서 아델슨은 성공한 전시컨벤션 기획자이자 전시장 운영자다.
1933년 리투아니아와 웨일스 출신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평생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10대 때 신문팔이와 사탕 장사를 시작으로 군인과 속기사, 부동산중개사, 대출상담사 등으로 활동했다. 평생 거친 직업만 어림잡아 50여 개에 달한다.
아델슨을 번듯한 사업가 반열에 올려놓은 건 40대 중반에 시작한 전시회 주최 사업이다. 1974년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자 그는 데이터통신 관련 잡지를 여럿 사들였다. 그리고 1979년 라스베이거스 MGM그랜드호텔에서 167개 회사를 모아 첫 행사를 열었다. 1990년대 최대의 전자박람회로 유명한 ‘컴덱스’다. 컴덱스로 큰돈을 번 그는 1988년 샌즈엑스포컨벤션센터를 건립하며 시설 사업으로 영역을 넓혔다.1995년 컴덱스를 일본 IT(정보기술) 대기업 소프트뱅크에 8억6200만달러를 받고 넘긴 아델슨은 또다시 도전에 나섰다. 숙박과 쇼핑, 관광, 엔터테인먼트, 컨벤션 기능을 갖춘 복합리조트 개발이다.
낡은 샌즈호텔·카지노를 사들여 15억달러를 투입, 1999년 베네시안리조트를 완공했다. 복합리조트의 효시인 베네시안리조트의 성공으로 아델슨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을 카지노에서 컨벤션 중심으로 바꾼 게임체인저라는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지난 3월 샌즈그룹은 베네시안과 팔라조, 샌즈엑스포컨벤션센터를 62억5000만달러에 매각했다. 본사는 라스베이거스에 남아 있기로 했지만 사업은 사실상 철수한 것이나 다름없다.샌즈그룹의 라스베이거스 자산 처분은 아델슨 사망 전부터 추진됐다. 아델슨은 오래전부터 마카오와 싱가포르,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관광·마이스 시장에 주목했다. 샌즈그룹이 최근 싱가포르에 33억달러 투자계획을 내놓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내년 6월 카지노 면허 갱신을 앞둔 마카오에도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상태다.
아델슨 회장이 살아 있었더라면 지금과 같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떤 사업을 구상하고 계획했을까. 추측만 가능할 뿐이지만, 생전에 그가 남긴 말에서 어렴풋이 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업은 버스와 같습니다. 모퉁이에 서서 기다린 첫 번째 버스가 마음에 안 들면 그냥 보내세요. 10분을 기다려 두 번째로 온 버스도 내키지 않으면 또다시 보내세요. 걱정하지 마세요. 버스는 또 올 겁니다. 버스나 비즈니스나 모두 끝이 없습니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
그런 그에게는 또 다른 수식어가 붙기도 한다. 가난한 이민자 가정 출신인 아델슨은 미국 사회에서 아메리칸드림의 상징적 인물로 꼽힌다. 약물중독자와 이민자를 위해 매년 수백만달러를 쾌척한 자선사업가, 사회적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선 사회운동가로도 불린다. 코로나19 사태 초기 라스베이거스가 마스크 부족 사태를 겪자 자비로 전세기를 띄워 중국에서 마스크를 공수해온 일화는 유명하다.여기에 하나 더 있다. 라스베이거스를 비즈니스와 관광이 어우러진 마이스(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회) 도시로 탈바꿈시킨 선구자라는 타이틀이다. 카지노 재벌이기에 앞서 아델슨은 성공한 전시컨벤션 기획자이자 전시장 운영자다.
1933년 리투아니아와 웨일스 출신 부모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평생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10대 때 신문팔이와 사탕 장사를 시작으로 군인과 속기사, 부동산중개사, 대출상담사 등으로 활동했다. 평생 거친 직업만 어림잡아 50여 개에 달한다.
아델슨을 번듯한 사업가 반열에 올려놓은 건 40대 중반에 시작한 전시회 주최 사업이다. 1974년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자 그는 데이터통신 관련 잡지를 여럿 사들였다. 그리고 1979년 라스베이거스 MGM그랜드호텔에서 167개 회사를 모아 첫 행사를 열었다. 1990년대 최대의 전자박람회로 유명한 ‘컴덱스’다. 컴덱스로 큰돈을 번 그는 1988년 샌즈엑스포컨벤션센터를 건립하며 시설 사업으로 영역을 넓혔다.1995년 컴덱스를 일본 IT(정보기술) 대기업 소프트뱅크에 8억6200만달러를 받고 넘긴 아델슨은 또다시 도전에 나섰다. 숙박과 쇼핑, 관광, 엔터테인먼트, 컨벤션 기능을 갖춘 복합리조트 개발이다.
낡은 샌즈호텔·카지노를 사들여 15억달러를 투입, 1999년 베네시안리조트를 완공했다. 복합리조트의 효시인 베네시안리조트의 성공으로 아델슨은 라스베이거스 스트립을 카지노에서 컨벤션 중심으로 바꾼 게임체인저라는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지난 3월 샌즈그룹은 베네시안과 팔라조, 샌즈엑스포컨벤션센터를 62억5000만달러에 매각했다. 본사는 라스베이거스에 남아 있기로 했지만 사업은 사실상 철수한 것이나 다름없다.샌즈그룹의 라스베이거스 자산 처분은 아델슨 사망 전부터 추진됐다. 아델슨은 오래전부터 마카오와 싱가포르,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관광·마이스 시장에 주목했다. 샌즈그룹이 최근 싱가포르에 33억달러 투자계획을 내놓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내년 6월 카지노 면허 갱신을 앞둔 마카오에도 대규모 투자를 예고한 상태다.
아델슨 회장이 살아 있었더라면 지금과 같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어떤 사업을 구상하고 계획했을까. 추측만 가능할 뿐이지만, 생전에 그가 남긴 말에서 어렴풋이 답을 찾을 수도 있을 것 같다.
“사업은 버스와 같습니다. 모퉁이에 서서 기다린 첫 번째 버스가 마음에 안 들면 그냥 보내세요. 10분을 기다려 두 번째로 온 버스도 내키지 않으면 또다시 보내세요. 걱정하지 마세요. 버스는 또 올 겁니다. 버스나 비즈니스나 모두 끝이 없습니다.”
이선우 기자 seonwoo.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