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최대·최고 자신했던 日 '올림픽 효과' 허공으로
입력
수정
지면A21
당초 개최 효과 32조엔 예상23일 막을 연 도쿄올림픽은 대회 유치 당시 일본이 꿈꿨던 모습과는 차이가 크다. 2013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됐을 때 일본 정부는 사상 최대 규모 올림픽, 사상 최고의 경제 효과를 자신했다. 2015년 일본은행은 올림픽 개최 효과로 2014~2020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5조~30조엔(약 261조~313조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2017년 도쿄도는 2030년까지 장기적인 경제 효과가 32조엔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코로나로 최악 올림픽 될 듯
무관중에 입장권 수입 '흉작'
코로나19 여파로 한 해 3000만 명을 넘던 외국인 관광객이 자취를 감추고, 대부분의 경기가 무관중으로 열림에 따라 올림픽 특수는 사라진 지 오래다. 이달 초 다이와종합연구소가 내놓은 경제 효과는 3500억엔(개최 기간 기준)까지 쪼그라들었다.역대 올림픽 가운데 비용 대비 수익이 가장 뛰어난 ‘경제 올림픽’을 열겠다는 목표도 달성이 불가능해졌다. 일본은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개최 비용을 2012년 런던올림픽과 2016년 리우올림픽 이하로 줄일 계획이었다. 그러나 올림픽이 1년 연기되면서 1조3500억엔이었던 개최 비용이 1조6440억엔으로 불어났다. 런던(약 1조6000억엔)과 리우(약 1조5000억엔)의 개최 비용을 넘어선다.
반면 무관중 개최에 따라 일반인에게 판매한 입장권 363만 장 가운데 97%가 무효화됐다. 유효 입장권은 4만 장에 그친다. 900억엔을 기대했던 입장권 수입은 수십억엔 수준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역대 최고의 입장권 수입을 올린 런던(1090억엔)은 물론 경제적으로 ‘흉작’ 평가를 받았던 2008년 베이징올림픽(200억엔), 2004년 아테네올림픽(300억엔)보다 벌이가 시원찮다.
‘역대 최대 규모의 올림픽’도 물 건너갔다. 대회 관계자 수가 당초 예상했던 14만1000명에서 4만1000명으로 대폭 줄었고, 참가 선수도 1만1090명으로 리우올림픽을 근소하게 밑돈다. 33개 종목, 339개 세부종목 경기로 펼쳐지는 경기 규모만 일본의 공언대로 역대 최대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