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관계 개선 직접 압박한 美…"양국 원하면 역할할 것"
입력
수정
마크 램버트 미국 국무부 한국·일본 담당 부차관보가 “한·일 양국이 원한다면 미국이 역할을 할 것”이라며 한·일 관계 개선을 촉구했다. 반면 중국에 대해서는 ‘미국이 직면한 최대 도전’으로 규정하며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남북 통신연락선 복구가 미·북 대화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기대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초점은 대중(對中) 견제를 위한 한·일 관계 개선에 더욱 맞춰져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동맹 평화 콘퍼런스’에서 “미국은 한·일이 협력하지 않을 때 덜 안전하고, 한·일도 협력하지 않을 때 덜 안전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20세기에 일어난 만행은 있는 그대로”라며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강조하면서도 “그런 것을 하나의 바구니에 담아 다루되, 21세기에 그 나라들이 협력할 수 있는 것들로 또 다른 바구니를 채우는 게 우리의 과제”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이 무산된데 대해서도 아쉬움을 표했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웬디 셔먼 부장관이 (아시아 순방 길에) 서울로부터 받은 첫 보고는 문 대통령이 도쿄올림픽에 간다는 것이었다”며 “일본에 도착했을 때 무산됐다는 게 명확해져 염려스러웠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날 한·일 차관을 만났을 때 그들이 서로 정중히 대해 안도했다”며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양국 사이에 공통의 기반이 얼마나 많은지를 얘기했는데 거기에 화해와 타협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 한국 젊은이들은 더 안전하고 안정적이고 번영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일 관계 개선이 더 큰 번영의 길이라고도 강조했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미국이 직면한 최대 도전은 패권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중국”이라며 대중 견제 입장도 명확히 했다. 이어 “미국이 중국에 맞서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들이나, 미국이 한국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며 “우리는 동맹인 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국의 도전에 대해 “민주 절차를 옹호하려는 다자 협의체 수가 늘고 있다”며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북·중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나왔다. 마커스 갈로스카스 전 미국 국가정보국 북한정보담당관은 지난 27일 복원된 남북 통신선에 대해 “한국과 계속 긴밀하게 접촉하며 그 의미를 확인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의 도발은 잠시 동안 없을 수도 있지만 북한의 무기 개발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 위반, 지속적인 주민 학대 등을 도발이라 한다면 도발은 사실상 계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통신선 복원이 남북 대화를 넘어 미·북 대화 재개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기대와 시각차를 보인 것이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램버트 부차관보는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동맹 평화 콘퍼런스’에서 “미국은 한·일이 협력하지 않을 때 덜 안전하고, 한·일도 협력하지 않을 때 덜 안전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20세기에 일어난 만행은 있는 그대로”라며 일본의 역사적 책임을 강조하면서도 “그런 것을 하나의 바구니에 담아 다루되, 21세기에 그 나라들이 협력할 수 있는 것들로 또 다른 바구니를 채우는 게 우리의 과제”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일이 무산된데 대해서도 아쉬움을 표했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웬디 셔먼 부장관이 (아시아 순방 길에) 서울로부터 받은 첫 보고는 문 대통령이 도쿄올림픽에 간다는 것이었다”며 “일본에 도착했을 때 무산됐다는 게 명확해져 염려스러웠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날 한·일 차관을 만났을 때 그들이 서로 정중히 대해 안도했다”며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양국 사이에 공통의 기반이 얼마나 많은지를 얘기했는데 거기에 화해와 타협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양국이 좋은 관계를 유지하면 한국 젊은이들은 더 안전하고 안정적이고 번영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며 한·일 관계 개선이 더 큰 번영의 길이라고도 강조했다.
램버트 부차관보는 “미국이 직면한 최대 도전은 패권주의적이고 권위주의적인 중국”이라며 대중 견제 입장도 명확히 했다. 이어 “미국이 중국에 맞서려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이들이나, 미국이 한국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말하는 이들에게 의문을 제기할 것”이라며 “우리는 동맹인 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중국의 도전에 대해 “민주 절차를 옹호하려는 다자 협의체 수가 늘고 있다”며 한·미·일 삼각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북·중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나왔다. 마커스 갈로스카스 전 미국 국가정보국 북한정보담당관은 지난 27일 복원된 남북 통신선에 대해 “한국과 계속 긴밀하게 접촉하며 그 의미를 확인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의 도발은 잠시 동안 없을 수도 있지만 북한의 무기 개발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제재 결의 위반, 지속적인 주민 학대 등을 도발이라 한다면 도발은 사실상 계속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 통신선 복원이 남북 대화를 넘어 미·북 대화 재개로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한국 정부의 기대와 시각차를 보인 것이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