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투자 확대 나선 큰손들
입력
수정
지면B7
코로나 시대, 투자 기회 잡아라코로나19가 길어지면서 국내 연기금·공제회 등 ‘큰손’들이 위탁 운용사가 제안하는 공동투자(Co-Investment) 확대에 나서고 있다. 해외 출장을 가기 힘든 시대에 투자 기회를 잡으려는 시도다.
국민연금, 6000억 펀드 조성
교직원공제회도 5억弗 출자
"좋은 딜에 더 많은 투자 가능"
공동투자는 주로 투자 대상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금을 먼저 모집하는 블라인드펀드나 프로젝트 펀드를 조성한 업무집행사원(GP)들이 출자비율을 넘어서는 투자를 할 때 유한책임사원(LP)에게 요청하면서 이뤄진다. 통상 블라인드펀드는 한 가지 딜에 출자할 수 있는 범위가 최대 20~30%다. 큰 딜을 하다 보면 블라인드펀드만으로 자금을 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새로운 LP를 찾아가는 것은 양쪽 모두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과정에서 시간과 노력이 상당히 필요하다. 이럴 때 기존의 LP들을 중심으로 자금을 추가 조달하려는 수요가 생기고, 이것이 공동투자로 이어진다.공동투자를 하게 되면, LP들이 GP에 내야 하는 운용·성과 보수 등이 일부 싸진다. LP들로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좋은 딜에 더 많은 투자를 할 수 있어 최근처럼 ‘딜 소싱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하지만 내부 승인 절차가 복잡한 연기금 특성상 공동투자가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음을 알면서도 시간의 제약에 쫓겨 투자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주요 기관들은 별도 펀드를 조성하면서 의사결정을 외주화해 빠른 대응에 나서는 분위기다.
여기에 적극적인 곳이 국민연금과 교직원공제회다. 국민연금은 최근 운용규정을 개정해 공동 및 프로젝트 투자에서 파생된 투자건의 의사결정 권한을 실무진 중심의 대체투자소위원회에 위임키로 했다. 2017년 처음 만들었던 공동투자 펀드도 4년 만에 50% 늘린 6000억원 규모로 조성했다.교직원공제회도 2019년 한화생명과 공동투자펀드를 설립해 전체 약정금의 절반가량인 1억달러(약 1150억원)를 출자했다. 한화자산운용(GP)이 운용을 맡았다. 올해는 글로벌 운용사 하버베스트와 스텝스톤이 조성한 PEF공동투자펀드에 각각 2억5000만달러를 출자해 총 5억달러 규모의 펀드 조성에 나섰다. 별도 계정으로 운영되는 SMA(Separate Managed Account)를 설정해 투자 기회를 살핀다.
행정공제회의 움직임도 눈에 띈다. 행정공제회는 최근 사모기업 투자, 인프라 분야에 각 2억달러 규모로 공동투자 펀드 조성에 나섰다. 또 유럽 대체투자 운용사 악사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가 제안하는 공동투자건 참여를 위한 SMA펀드를 조성하고 바이오 연구시설 투자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차준호/황정환 기자 chach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