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멤버만 보고 200억 베팅…'제2 배민·토스' 찾는 투자금 6.7조
입력
수정
지면A3
K스타트업 퀀텀 점프지난해 9월 설립된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 전문 스타트업 리벨리온은 창업한 지 1년도 되지 않아 200억원 이상을 투자받았다. 제품 및 서비스가 아직 나오지도 않았다. 카카오벤처스, 신한캐피탈, 서울대 기술지주, KCA 파트너스 등은 리벨리온 창업 멤버들의 이력과 기술만 보고 투자를 결정했다. 리벨리온은 IBM, 인텔, 세계 최대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 ARM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 출신이 모인 스타트업이다.
(1) 글로벌 대박신화의 꿈
실적 없는 스타트업에 '뭉칫돈'
IBM·인텔 출신 모인 리벨리온
창업 1년도 안돼 거액 투자받아
몸값 뛰며 투자 수익 '대박'
우아한형제들 투자한 본엔젤스
초기 3억으로 1000배 이상 수익
스타트업계에 인재와 돈이 몰리고 있다. 초기 스타트업에 수백억원의 뭉칫돈이 들어오고, 성장성을 인정받은 스타트업의 기업 가치는 매년 크게 오르고 있다. 한국 스타트업 생태계가 단단해지면서 본격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리즈A일 뿐인데’ 수백억원 투자
각종 AI 서비스를 내놓은 스타트업 보이저엑스와 뇌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스타트업 아임뉴런바이오사이언스는 각각 지난 6월과 5월 시리즈A 단계에서 300억원을 투자받았다. 화상 영어교육 플랫폼 링글을 운영하는 링글잉글리시에듀케이션서비스, 항암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 스타트업 파노로스바이오사이언스는 최근 시리즈A 단계에서 각각 200억원을 투자받았다.배달 앱 1위 서비스 ‘배달의민족’의 우아한형제들이 2012년 시리즈A로 20억원을 투자받은 것을 감안하면 상전벽해다. 이마저도 당시 업계에서 화제가 될 만큼의 거액이었다. 최근에는 이 정도 자금을 초기 단계에서 유치한 스타트업은 수두룩하다. 올해 들어서는 시리즈A에 100억원 이상을 투자받은 스타트업도 부쩍 늘었다. 블록체인 기업 람다256(170억원), ‘사장님 세무회계 서비스’ 더체크(102억원), AI 영어학습 앱 이팝소프트(100억원) 등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들이 올해 들어 100억원 이상의 시리즈A 투자금을 확보했다.
연쇄창업자 증가도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의 성장 속도를 높였다. 스타트업이 흔히 겪는 시행착오를 줄였다는 것이다. 보이저엑스의 남세동 대표, 4세대 암호인 동형암호 전문 스타트업 디사일로의 이승명 대표, AI 음성인식 스타트업 리턴제로의 이참솔 대표 모두 연쇄창업자다. 최근 스타트업은 사업성도 남다르다. 신규 시장을 발굴해 창업 초기부터 의미있는 실적을 내는 사례가 많다. 소상공인의 디지털 전환을 돕는 더체크 서비스 이용자는 출시 11개월 만에 20만 명을 돌파했다.국내 최초 액셀러레이터(스타트업에 초기 자금과 멘토링 등을 제공하는 단체) 프라이머를 설립한 권도균 대표는 “쿠팡, 우아한형제들 등이 크게 성공하면서 스타트업도 인력과 아이템 등이 좋으면 ‘대박’을 낼 수 있다는 인식이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 퍼졌다”며 “국내 인구 밀도가 높아 스타트업이 빨리 성장할 수 있는 것도 유리한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유니콘 성공 사례가 선순환 이끌어
기존 유망 스타트업의 몸값이 크게 오른 것도 초기 스타트업 성장에 도움을 주고 있다. 금융 앱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는 지난달 46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를 유치했다. 이 과정에서 기업 가치가 74억달러(약 8조3916억원)로 불었다. 3년 전(10억달러)의 약 일곱 배로 급증했다. VC업계 관계자는 “제조업체, 유통기업보다 혁신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수익률이 최근 훨씬 높다”고 말했다. 우아한형제들에 초기 자금으로 3억원을 투자했던 VC 본엔젤스는 1000배 이상 수익률을 기록했다.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스타트업 신규 투자 약정금액은 6조6664억원에 달했다. 5년 전 2조6753억원의 두 배가 넘는다. 정권 교체 여부와 관계없이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지속된 정부 투자가 스타트업 판을 전체적으로 키우는 데 기여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스타트업 지원 민간기관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매년 업계 종사자, 취업준비생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 생태계 분위기 전반에 대한 평가 점수(100점 만점)는 2016년 55점에서 지난해 71.3점으로 높아졌다.김주완/선한결/김종우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