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ESG 경영은 삼성 SSAFY처럼
입력
수정
지면A31
ESG는 이윤추구의 품격화 노력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인 가운데 일각에서는 이를 둘러싼 좌우 이데올로기 논쟁의 담론도 벌어지고 있다. ESG 경영은 자본주의 이윤극대화 과정을 사회 품격화하고자 하는 경제 주체들의 자율 노력으로서, 이윤극대화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한다. 그간 기업 내 HR(인사관리)은 이윤극대화에 예속돼 있어서 ESG의 S(social)와 연계된 논의는 거의 없었다. 사회적 가치 구현을 위한 HR은 전통적인 HR을 넘어서 혁신적 HR이 돼야 이윤증진의 파이노믹스(pienomics·규모의 경제)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ESG와 HR은 무관한 이슈처럼 인식하는 기업 CHO(최고인사노무책임자)들이 많았다. 심지어 ‘소셜(social)’이라는 단어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 CHO도 많았다.
채용 전제 않고 청년 역량 강화
기업의 HR혁신 정부가 밀어줘야
조준모 <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 >
그간 HR은 노동을 사용하고 대가를 지급하고 일할 때만 관리하는 데 초점을 뒀다. 채용시장에서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은 ‘자기계발 없는 힐링’ ‘포퓰리즘 힐링’에 현혹되고 그 과정에서 반기업 정서가 부풀려지게 된다. 정치권은 이를 이용해 반기업 입법을 쏟아내고 기업들의 생산 활동이 저해받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하지만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HR의 외연을 넓혀 근로자의 전 생애에 걸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HR 패러다임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다. 입사 전 청년, 퇴직 후 고령자 관리 등 재직 시 인사관리를 넘어서는 HR시스템을 재구축해 청년과 고령자를 프로슈머로서 육성해 가고, 이런 HR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내재화할 수 있다.사회에는 학교 세계와 일의 세계 속 다른 문화를 연결하는 가교가 필요하다. 여기에는 기업이 직접 채용할 사람만 훈련시키는 것이 아니라 시장 생태계에 훈련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기업에 입사하지 않아도 청년에게 자기계발 기회를 제공해 일자리 생태계 육성 및 산업 발전 도모가 가능하다. 특정기업이 시장에서 필요한 인력 공급을 위한 훈련을 하는 것은 시장에서의 실패 우려로 쉽지 않고, 각종 규제와 관료주의로 인한 정부 실패는 시장 실패보다 사회적 비용이 더 크다.
이런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대기업들과 경제단체의 ESG 차원 노력이 필요하다. 삼성의 SSAFY(삼성청년소프트웨어아카데미)는 취업준비생에게 SW 역량향상 교육 및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그동안 채용할 사람만 훈련시키는 ‘내 식구 챙기기’식, 각자도생형 HR을 넘어서고자 하는 모델이다. 포스코의 AI·빅데이터 아카데미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육을 제공해 청년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취지다. SK의 SUNNY도 사회문제 개선을 위한 실천적 모델을 발굴하고 자원봉사 활동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으로, 참여자가 반드시 SK에 취업하는 것은 아니다.
이런 대기업들의 노력에 더해 정부가 ‘청년고용 응원프로젝트’를 마련해 경제단체와 기업들 간에 협업을 응원하고 이를 위한 청년 고용 플랫폼을 만든다고 한다. 그간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대기업 채용압박 및 인건비 보조 위주로 거친 청년고용 정책을 펼쳐왔던 것과는 대조를 이룬다.지급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도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도 필요하다. 가령 경제단체에서 일자리 ESG 고용 플랫폼을 구축해 사회적 가치 사례를 홍보하고,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 구축 및 확산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플랫폼에서 기업들은 정부와 정치권에 제도 개선도 요구할 수 있다. 중소기업들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플랫폼에 참여할 유인을 충분히 제공해야 한다.
ESG를 담론과 포장에서 찾지 말고, 어떤 가치와 철학으로 지금 하는 일들을 개선할지에 대한 실천적인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사(人事)가 만사(萬事)인 만큼, ESG를 HR 분야에서 녹여내기 위한 혁신이 필요하다. 그 혁신이 경제단체와 정부가 지원하는 플랫폼에서 구현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