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경의 7과 3의 예술] 미켈란젤로, 고독한 그러나 담대한 거장
입력
수정
지면A33
김희경 문화스포츠부 기자로마 바티칸 시국의 시스티나 대성당. 이곳에선 장엄하고 위대한 명작들과 마주할 수 있다. 머리 위엔 세계 최대 규모의 천장화 ‘천지창조’가, 제단 뒤엔 거대한 벽화 ‘최후의 심판’이 그려져 있다. 두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만 700명이 넘는다. 천지창조에 340명, 최후의 심판에 391명이 있다. 엄청난 대작 속 인물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있노라면 생생한 역동성에 감탄하게 된다.
천지창조에서 가장 익숙한 ‘아담의 창조’(사진)를 발견하면 반갑다. 하느님과 아담의 닿을 듯 말 듯한 손끝은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E.T’를 비롯해 다양한 영화와 광고에서 패러디됐다. 또 지옥·연옥·천국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져 있는 최후의 심판 앞에선 절로 경건해진다.
두 작품은 모두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1475∼1564)가 그린 것이다. 그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라파엘로 산치오와 함께 르네상스 미술을 이끈 3대 천재 화가로 꼽힌다. 천지창조는 4년, 최후의 심판은 8년에 걸쳐 완성했는데 대부분을 미켈란젤로 혼자 작업했다. 참으로 초인적이고 담대한 여정이다.
돌덩이에서 이미지를 끄집어내다
미켈란젤로는 이탈리아 중부의 토스카나 카프레세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때부터 그림과 조각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치안판사였던 아버지의 반대에도 자신이 원하는 길을 갔고, 메디치 가문의 후원까지 받게 됐다.미켈란젤로는 회화보다 조각을 더 좋아했고, 화가보다는 조각가로 불리길 원했다. 잘 알려진 ‘피에타’ ‘다비드’ 상을 그가 만들었다.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를 안고 있는 피에타는 미켈란젤로가 23세 때 완성했다. 29세에 만든 다비드는 5m가 넘는 대리석에 조각한 작품이다.돌 조각은 작업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칫 실수라도 하면 돌이키기 어렵고 균형을 맞추는 것도 쉽지 않다. 그러나 미켈란젤로는 이 작업을 즐겼다. 조각을 대하는 태도와 관점 자체가 남달랐다. 그는 말했다. “조각 작품은 내가 작업을 하기 전에 이미 그 대리석 안에 만들어져 있다. 나는 다만 그 주변의 돌을 제거할 뿐이다.”
그는 금지돼 있던 해부학 공부에도 매달렸다. 천지창조에도 이런 관심이 담겨 있다. 천지창조 중 ‘아담의 창조’엔 하느님을 둘러싸고 있는 붉고 둥근 천이 보인다. 이 모양은 마치 인간의 뇌를 절반으로 자른 것 같다. “예술가의 능력은 손이 아니라 머리에서 나온다”고 했던 그의 얘기와도 맞닿는다.
87세에 남긴 메모, "아직 배우고 있다"
그는 20대에 조각가로서 유럽 전체에 널리 이름을 알렸다. 미켈란젤로 이전에는 예술가라는 직업이 천시됐고, 권력의 지시에 따라 움직여야만 했다. 그는 여기서 벗어나 자신의 선택과 의지대로 작업하는 독립적인 예술가가 됐다.하지만 그런 거장에게도 타의에 의해 작업해야만 하는 일이 종종 생겼다. 미켈란젤로 자신은 조각가라고 주장했지만 교황에 의해 천지창조를 그리게 됐다. 타의에 의한 작업이었지만 그는 누구보다 진심을 다했다. 높은 천장에 그림을 그리느라 극심한 허리 통증을 겪었고, 물감이 눈에 떨어져 시력에도 문제가 생겼다. 하지만 그는 혼신의 힘을 다해 홀로 작품을 완성했다. 작업복을 벗지 않고 장화도 신은 채 잠든 날이 많았다. 30년이 지난 59세의 나이에 최후의 심판을 맡았을 때도 8년 동안 잠도 잘 자지 않고 작업에 몰두했다.
미켈란젤로는 고독한 삶을 살았던 예술가로 손꼽힌다. 라파엘로가 인기 만점이었던 것과 달리 그는 주로 혼자였다. 독신이었던 그에게 사람들이 결혼을 재촉하면 “나에겐 끊임없이 나를 들볶는 예술이라는 부인이 있다. 내가 남긴 작품이 곧 나의 자식들”이라고 말했다.89세에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도 작업을 하고 있었던 미켈란젤로. 평생을 경주마처럼 달렸던 그가 87세에 천장화 하나를 완성한 후 스케치 한편에 남긴 문구는 지금도 회자되고 있다. “나는 아직도 배우고 있다.”
◆‘7과 3의 예술’에서 7과 3은 도레미파솔라시 ‘7계음’, 빨강 초록 파랑의 ‘빛의 3원색’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큰 감동을 선사하는 예술가들의 삶과 철학을 살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