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엣지] "이대로는 죽는다"...'온라인 변신' 나선 K-면세점
입력
수정
코로나19로 면세점 산업 존폐 위기
과감한 혁신으로 '디지털 전환'
롯데, 온라인몰 개편 "맞춤형 콘텐츠"
신세계, 물류 역량 강화

코로나19 사태는 면세점을 존폐의 위기로 내몰았습니다. 하늘길이 막히자 공항 면세점에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겼습니다.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지난해 1월 2조원을 웃돌던 국내 면세점 매출은 같은 해 4월 1조원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재고 면세품 국내 판매, 무착륙 관광비행 등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지만 이 매출은 전체의 5%도 안 됩니다.그래서 요즘 면세점들은 ‘온라인 변신’에 한창입니다. 온라인을 통해서라도 국내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다가가지 않으면 브랜드 자체가 잊혀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업계에 퍼져 있기 때문입니다. 온라인몰을 구색 맞추기처럼 운영하던 면세점들은 외부 e커머스에 과감하게 입점하고, 정보기술(IT) 인력을 보강해 자사몰과 배송 역량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사태가 면세점들이 디지털 전환을 할 계기를 만들었다”는 말이 나올 만큼 과감한 변화입니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새로운 기술도 도입했습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얼굴을 인식한 뒤 선글라스 등 300여개 상품을 가상으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설화수 등 유명 브랜드와 협업해 가상현실 플래그십 스토어도 구현합니다.온라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도 개편했습니다. 롯데면세점 관계자는 “온라인사업부문을 플랫폼 부문으로 변경하고 세부 조직도 전면 개편했다”며 “앱 개선 등을 위해 개발 인력들도 채용했다”고 말했습니다.
현대백화점면세점도 연내 인터넷면세점 앱과 웹사이트를 개편할 계획입니다. 역시 개인 맞춤형 콘텐츠 구현이 중점이 될 것이라는 설명입니다.
한국경제신문의 실리콘밸리·한국 신산업 관련 뉴스레터 한경 엣지(EDGE)를 만나보세요!
▶무료 구독하기 hankyung.com/newsletter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