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美, 자사주 매입 7260억달러에 달할 것"
입력
수정

16일(현지시간) CNBC는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을 인용해 "S&P 500 기업의 87%가 2분기 EPS(주당순이익)가 예상치를 웃돈 상황에서 기업들이 자사주를 사들이고 있다"고 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S&P500 상장 기업들은 2분기에만 2000억달러(약 233조 8000억원)규모의 자사주를 사들였다. 올들어 지난 7월까지 6830억달러로, 2018년를 제외하고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골드만삭스는 "이같은 흐름은 이어질 것"이라며 "연말까지 바이백 규모가 726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영향으로 바이백 규모가 많은 기업에 투자하는 골드만삭스의 포트폴리오는 시장을 웃도는 성적을 내고 있다. 이 회사의 투자대상인 50개 종목은 S&P500지수를 올 들어 4.6% 높은 27%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S&P는 23% 올랐다. 투자 포트폴리오의 바이백 수익률 중간값은 5%로, S&P500 중간값(1%) 보다 높다. CNBC는 "바이백 주식들은 2분기 실적에 이어 바이백이 늘어나면서 지난 여름 높은 상승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2분기 바이백은 정보기술(IT)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백 기업 전체의 29%가 IT 기업이었다. 금융(26%), 통신 서비스(15%)가 뒤를 이었다.
CNBC는 골드만삭스가 바이백 포트폴리오에 담고 있는 종목 중 10가지를 소개했다. 먼저 알파벳이다. 알파벳은 코로나 확산으로 국채금리가 낮아지는 상황에서도 올들어 57% 올랐다고 평하갰다. 알파벳의 바이백 수익률은 5%이다. 미국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엣시(바이백 수익률 4%), 식품회사인 J.M. 스머커(5%), 금융회사인 싱크로니 파이낸셜(5%), 민간 건강보험회사인 앤섬(5%), 미국 철도회사인 캔자스 시티 서던(5%), 인텔(5%), 미국 종합 건축자재회사인 셔윈 윌리엄스(6%), 부동산 리츠인 퍼블릭 스토리지(5%), 미국 천연가스 기업인 도미니언 에너지(5%) 등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유틸리티, 에너지, 부동산 및 산업 부문의 바이백은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을 밑돌고 있지만 퍼블릭 스토리지가 바이백 리스트에 오른 것을 주목할만하다고 CNBC는 전했다.
뉴욕=강영연 기자 yy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