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중 수교후 29년간 중국이 다수 경제지표서 한국 추월"
입력
수정
GDP·수출·국가경쟁력 등에서 한국 앞서
한중 수교 후 30년간 중국이 다수 경제지표에서 한국을 추월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오는 24일 한중 수교 29주년을 맞아 한중 간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전경련에 따르면 중국은 수교 후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명목 기준 한국의 GDP는 1992년 3천560억달러에서 2020년 1조6천310억달러로 4.6배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중국은 4천920억 달러에서 14조7천230억달러로 29.9배 폭증했다.이에 따라 한중간 명목 GDP 격차는 같은 기간 1.4배에서 9.0배로 벌어졌다.
명목 1인당 GDP도 한국은 1992년 8천126달러에서 2020년 3만1천497달러로 3.9배 늘었지만, 중국은 420달러에서 25배인 1만484달러로 급증했다.
1992년 한국의 5.2%에 불과했던 중국의 명목 1인당 GDP가 2020년에는 33.3% 수준까지 쫓아온 셈이다.대외부문 지표에서도 중국의 성장세는 가팔랐다.
한국의 수출액은 1992년 770억 달러에서 2020년 5천130억 달러로 6.7배 성장했지만 중국은 860억 달러에서 5조5천980억 달러로 65.1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이 비슷한 수준이었던 교역액도 2020년 한국은 9천81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중국은 7.8배인 7조6천580억 달러를 나타냈다.외국인직접투자 격차도 벌어졌다.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는 1992년 10억200만 달러에서 2020년 92억2천400만 달러로 9.2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110억800만 달러에서 1천493억2천400만 달러로 13.6배 늘어 한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국가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IMD(국제경영개발대학원) 국가경쟁력 순위도 중국은 한국을 앞질렀다.
한국 순위는 1994년 32위에서 2021년 23위로 9계단 올랐지만, 중국은 34위에서 16위로 18단계 뛰어올랐다.
제조업경쟁력을 분석해 국가마다 순위를 부여하는 UN산업개발기구(UNIDO)의 CIP 지수도 2018년 중국이 2위, 한국이 3위를 기록했다.
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와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점유율 1위 품목 수도 중국이 한국보다 많았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는 1995년 한국이 8개, 중국(홍콩 포함)이 3개였지만 올해는 중국이 135개로 한국(15개)을 크게 앞섰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수는 2019년 69개를 나타내며 중국(1천759개)에 크게 뒤졌다.
글로벌 연구개발(R&D) 1천대 투자 기업 수도 2019년 중국(168개)이 한국(25개)을 앞질렀다.전경련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중국의 급성장을 반면교사로 삼아 중국과의 경제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 성장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한중 수교 후 30년간 중국이 다수 경제지표에서 한국을 추월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오는 24일 한중 수교 29주년을 맞아 한중 간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23일 발표했다.전경련에 따르면 중국은 수교 후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을 크게 추월했다.
명목 기준 한국의 GDP는 1992년 3천560억달러에서 2020년 1조6천310억달러로 4.6배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중국은 4천920억 달러에서 14조7천230억달러로 29.9배 폭증했다.이에 따라 한중간 명목 GDP 격차는 같은 기간 1.4배에서 9.0배로 벌어졌다.
명목 1인당 GDP도 한국은 1992년 8천126달러에서 2020년 3만1천497달러로 3.9배 늘었지만, 중국은 420달러에서 25배인 1만484달러로 급증했다.
1992년 한국의 5.2%에 불과했던 중국의 명목 1인당 GDP가 2020년에는 33.3% 수준까지 쫓아온 셈이다.대외부문 지표에서도 중국의 성장세는 가팔랐다.
한국의 수출액은 1992년 770억 달러에서 2020년 5천130억 달러로 6.7배 성장했지만 중국은 860억 달러에서 5조5천980억 달러로 65.1배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이 비슷한 수준이었던 교역액도 2020년 한국은 9천81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중국은 7.8배인 7조6천580억 달러를 나타냈다.외국인직접투자 격차도 벌어졌다.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는 1992년 10억200만 달러에서 2020년 92억2천400만 달러로 9.2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110억800만 달러에서 1천493억2천400만 달러로 13.6배 늘어 한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국가경쟁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IMD(국제경영개발대학원) 국가경쟁력 순위도 중국은 한국을 앞질렀다.
한국 순위는 1994년 32위에서 2021년 23위로 9계단 올랐지만, 중국은 34위에서 16위로 18단계 뛰어올랐다.
제조업경쟁력을 분석해 국가마다 순위를 부여하는 UN산업개발기구(UNIDO)의 CIP 지수도 2018년 중국이 2위, 한국이 3위를 기록했다.
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와 세계 수출시장에서의 점유율 1위 품목 수도 중국이 한국보다 많았다.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는 1995년 한국이 8개, 중국(홍콩 포함)이 3개였지만 올해는 중국이 135개로 한국(15개)을 크게 앞섰다.
한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1위 품목 수는 2019년 69개를 나타내며 중국(1천759개)에 크게 뒤졌다.
글로벌 연구개발(R&D) 1천대 투자 기업 수도 2019년 중국(168개)이 한국(25개)을 앞질렀다.전경련 김봉만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은 중국의 급성장을 반면교사로 삼아 중국과의 경제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동남아 등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 성장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