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충남도지사 "공공기관 이전·서산공항·해양정원에 모든 역량 쏟겠다"
입력
수정
지면A28
지자체장에게 듣는다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경선에 참여했던 양승조 충남지사(사진)가 도정에 복귀했다. 본경선에 오르지 못한 그의 대선 출마를 두고 지역에선 논란이 벌어졌다. “열악한 지방의 현실을 전국에 알리고 대안을 제시했다”는 긍정적 평가와 “자신의 정치적 외연을 확장하고 낮은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도정 공백을 초래했다”는 곱지 않은 시선이 엇갈렸다.
"서산민항, 경제성·효율성 충분해
가덕도 신공항처럼 예타 면제를"
"가로림만에 국가정원 조성 계획
부남호 역간척사업으로 수질 개선
서산B지구 농경지 60% 갯벌화"
양 지사는 이 같은 지역 반응에 대해 3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남은 1년 임기 동안 도정에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강조했다. 충청남도는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 서산비행장 충남민항(서산민항) 설치,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 KTX~서해선 직접 연결,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유치 등 해결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그는 “도정을 꼼꼼히 챙기는 건 의무이자 도리”라며 “임기 내에 반드시 가시적 성과를 내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 이전에 전력투구
충청남도는 도청이 자리잡은 내포신도시(홍성·예산 일대)가 지난해 혁신도시로 지정됐지만 공공기관 이전이 늦어져 고민이 깊은 상황이다. 지역에서는 “현 정부 아래에서는 공공기관 이전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나올 정도다.도는 △공공기관 신속 유치 전략을 마련하고 △종사자를 위해 거주 여건을 개선하며 △행정서비스를 담당할 관리조직을 신설하기로 했다. 양 지사는 “130여 개 공공기관장과 면담해 보니 충남 이전에 우호적인 기관이 많았다”며 “공공기관 지방 이전 작업이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고 대선 공약에도 반영시키겠다”고 말했다.‘서산민항’ 건설도 충청남도가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과제 중 하나다. “국토교통부의 2017년 사전타당성 연구 결과에서 비용 대비 편익이 1.32로 조사돼 경제성과 효율성을 갖췄다”는 게 충청남도의 주장이다. 양 지사는 “정부가 가덕도신공항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는 데 비해 서산민항에는 유독 엄격한 잣대를 요구하고 있다”며 “도에서 일부 사업비를 부담하겠다는데도 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요구하는 것은 충남 도민의 열망을 무시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관광 인프라 사업에도 역점
양 지사는 충청남도를 환황해권 중심지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해양 신산업인 ‘가로림만 해양정원 조성사업’과 ‘부남호 역간척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양 지사는 가로림만 해양정원 사업에 대해 “정부도 사업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어 예타를 충분히 통과할 것”이라고 자신했다.이 사업은 2019년 12월 기획재정부의 예타 대상에 선정됐다. 도는 2025년까지 2500억원을 투입해 이곳에 순천만과 같은 국가정원급 시설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가로림만 해양정원 사업은 충남 서산과 태안 가로림만에 인접한 6개 읍·면 지역 159.85㎢를 해양생태 거점으로 구축하는 사업이다. 양 지사는 “건강한 바다환경 조성을 위해 해양정원센터, 오지리 갯벌 생태계 복원, 갯벌정원, 해양생태학교, 생태탐방로, 생태탐방뱃길, 식도락거리를 조성할 계획”이라며 “지방비만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없기 때문에 국비 확보를 위해선 예타 통과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설명했다.양 지사는 부남호 역간척사업에 대해서도 “어려운 일이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며 사업 추진 의지를 밝혔다. 부남호는 40여 년 전 농경지를 확보하기 위해 간척사업을 하면서 만들어진 인공호수다.
현재 수질은 5~6등급으로 농업용수는 물론 공업용수로도 사용하기 어려운 수준으로 전락했다. 도는 부남호 역간척 기본계획을 마련해 제방 지하에 수로를 설치하고 해수를 통과시켜 서산B지구 농경지 60%를 갯벌로 돌리겠다는 구상을 마련했다. 양 지사는 “이 사업은 방조제를 뚫어 농경지를 갯벌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해저터널을 통해 오염된 담수호를 정화하는 사업”이라며 “세계적인 모델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사업으로 올해 예타 대상지로 선정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스플레이를 핵심 먹거리로
정부의 단일 연구개발(R&D) 사업으로는 최대 규모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 사업도 지역의 주요 관심사다. 도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관련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총 5281억원의 예산이 투입돼 2025년까지 차세대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공정시설과 연구장비가 충남테크노파크에 들어선다.이 사업의 핵심 시설인 디스플레이 혁신공정센터는 1651억원을 들여 지상 4층, 연면적 1만2913㎡ 규모로 짓는다. 올해 착공을 앞두고 있다. 양 지사는 “충남은 천안·아산 삼성디스플레이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디스플레이 메카로 성장했다”며 “디스플레이 혁신공정 플랫폼이 완성되면 올해 지정된 디스플레이 소부장 특화단지와 함께 충남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홍성=강태우 기자 kt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