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의 자충수…호주산 석탄 수입 금지하자 공급난 시달려
입력
수정

7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중국은 호주산 석탄 수입을 금지했다. 호주와의 외교 갈등으로 인해 일종의 무역 보복을 한 것이다. 조시 프라이든버그 호주 재무장관은 “지난 1년 동안 중국으로의 석탄 수출은 약 3000만t 감소했다”고 했다.그런데 중국의 무역 보복은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중국 내 석탄 공급이 부족해지자 석탄값이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석탄 허브인 산시성 일부 지역에서는 지난주 석탄 가격이 t당 4000위안(약 71만원)을 넘어섰다. 한 달 만에 45% 이상 급증했다.
중국의 석탄 선적 항구 도시인 친황다오의 발전용 석탄의 가격은 지난 7월 말 t당 1009위안(약 18만원)으로 상승했다. 2011년 이후 최고가다. t당 467위안 수준이었던 지난해보다도 두 배 이상 올랐다.중국에서 석탄 공급난이 벌어진 것은 산업 활동이 활발해져 전력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중국은 전력 생산의 대부분을 석탄 발전에 의존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의 전체 발전량 중 화력 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56.6%에 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의 총 전력 소비는 올 초부터 7월까지 15.6% 증가했다. 주요 16개 성에서의 전력 소비도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리 롱 신다시큐리티 애널리스트는 “매년 중국 내 발전용 석탄 수요가 10%씩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중국은 내몽골 석탄 광산을 신규로 허가하고 석탄 생산을 늘리고 있다. 하지만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가려면 최소 2~3년은 걸린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맹진규 기자 mae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