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호 기자의 열려라! 우리말] 민족 최대의 명절은 추석? 설?
입력
수정
지면S18
우리 인식에 추석과 설은 경중을 따질 수 없는 양대 명절로 자리잡았다는 뜻일 게다. 실제로 이동인구에도 큰 차이가 없다.해마다 이맘때가 되면 궁금해지는 게 있다. 민족 최대의 명절은 추석일까 설날일까?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을 맞아 고향을 찾는 귀성객들이….” 언론에서는 추석을 앞두고 관련 보도를 쏟아낸다. 설 때가 되면 같은 문장에 ‘추석’ 대신 ‘설날’만 바꿔 넣은 말이 반복된다. 그래도 우리는 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인다.
명절은 법 아니라 관습으로 지켜온 행사
그만큼 우리 인식에 추석과 설은 경중을 따질 수 없는 양대 명절로 자리잡았다는 뜻일 게다. 실제로 이동인구에도 큰 차이가 없다. 한국교통연구원이 2018년 내놓은 ‘10년간 명절연휴 통행실태’에 따르면 추석 3600여만 명, 설 3200여만 명이었다(2017년 기준).추석이나 설을 명절이라고 하는데, 절기(節氣)와는 어떻게 다를까? 또 기념일이나 국경일, 공휴일과의 차이는 무엇일까? 별로 쓸모없을 거 같은 ‘알쓸신잡’류 우리말 몇 가지를 알아보자.우선 명절은 오랜 관습에 따라 해마다 일정하게 지켜 즐기거나 기념하는 때를 말한다. 국경일과 기념일이 법에 의해 정해진 날임에 비해 명절은 ‘관습’에 의한 것이다. 계절에 따라 좋은 날을 잡아 일정한 행사를 하면서 생겨난 풍속이다. 유구한 역사 속에 민족의 삶과 함께 해 그 자체로 문화가 된 기념일, 그것이 명절인 셈이다. 그래서 명절은 살아가면서 ‘지내는’ 것이고, 국경일과 기념일은 때가 되면 ‘돌아오는’ 날이다. 명절은 또 계절의 바뀜을 알려주는 ‘절기(節氣)’와도 구별된다.
우리 명절로는 설과 추석을 비롯해 정월대보름, 한식, 단오, 유두, 백중, 동짓날 등이 비교적 널리 알려져 있다. 이 중 동짓날은 24절기에도 포함된다. 또 설과 추석은 법정공휴일이기도 하다. 요즘은 설과 추석, 정월대보름, 조금 더하면 동지팥죽을 쑤어 먹는 동짓날 정도나 명절로 지켜지고 있어 대부분 그 의미를 잃은 지 오래됐다. 칠월칠석 같은 게 그런 날 중의 하나다. 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서려 있는 이날 하늘의 별을 기리며 소원을 빌던 풍습이 있었다. 요즘은 이보다 밸런타인데이를 더 친숙하게 여긴다.
절기는 태양 움직임 따른 계절 변화 알려줘
명절과 어울려 쓰는 서술어는 ‘쇠다’라는 것도 함께 알아둘 만하다. 순우리말 ‘쇠다’는 ‘명절, 생일, 기념일 같은 날을 맞이해 지내다’란 뜻이다. 추석, 설 같은 명절을 쇠고, 생일이나 환갑도 쇤다고 한다. 이 말을 정확히 모르는 사람들은 이를 쇄다, 세다, 쉬다 식으로 잘못 쓰기 십상이다.명절은 음력을 기준으로 날짜를 잡지만, 절기는 양력으로 정한다는 점도 알아둘 만하다. ‘절기’는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이 되는 구별이다. 해마다 날짜가 하루이틀 차이나는 것은 그런 까닭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날짜를 정한다.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는 계절이 바뀌는 데에 맞춰 농사를 지었기 때문에 예로부터 절기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다달이 초순과 중순에 하나씩, 모두 24개이다. 계절의 시작을 알리는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을 비롯해 춘분과 추분, 하지, 동지, 우수, 경칩, 청명, 곡우, 소만, 망종, 소서, 대서, 처서, 백로, 한로, 상강, 소설, 대설, 소한, 대한이 그것이다.한여름 복더위를 가리키는 삼복, 즉 초복 중복 말복은 절기에 들어가지 않는다. 이들은 계절의 변화를 나타내는 게 아니다. 또한 명절이라고 하지도 않는다. 굳이 분류하자면 ‘잡절’에 해당한다. 복날은 1년 중 가장 더운 때로, 한여름 무더위를 잘 이겨내기 위해 조상들이 지켜온 풍습일로 이해하면 된다. 다음 호에서 명절과 공휴일, 기념일, 국경일의 차이를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