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가입자 61%가 30대 이하…금융서비스 흐름까지 주도
입력
수정
지면A3
MZ세대의 금융 위력은금융산업에서 MZ세대(밀레니얼+Z세대)가 미치는 영향력은 전방위적이다. 초고속 성장 중인 핀테크·빅테크 기업은 물론 전통 금융회사들도 국경을 가리지 않고 MZ세대 잡기에 팔을 걷었다. MZ세대는 이미 금융소비자의 중추가 된 데다 미래 금융 서비스의 흐름을 주도할 ‘트렌드 세터’로서의 존재감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핀테크·빅테크 고속성장 주역
전통적 금융사들 위기감 고조
2030년 세계 MZ 소득 73조弗
전체의 60%…경제 중심축으로
MZ세대의 금융 위력을 보여주는 첫 번째 지표는 소득·자산의 절대적인 규모다. 뱅크오브아메리카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Z세대의 소득은 2020년 7조달러에서 10년 내 33조달러로, 밀레니얼세대의 소득은 같은 기간 20조달러에서 40조달러로 늘어날 전망이다. 총소득의 60% 수준이다. 베이비붐 세대로부터 상속될 자산까지 고려하면 2030년에는 MZ세대가 명실상부 경제활동의 핵심 중추가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MZ세대의 진정한 ‘금융 권력’은 따로 있다. 이들의 선호가 향후 금융산업의 흐름을 결정할 만큼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이다. 수십조원의 자산을 보유한 전통 은행을 위협하고 있는 카카오뱅크와 토스의 가장 큰 무기는 높은 MZ세대 고객 비중이다. 카카오뱅크는 가입자의 34%, 토스는 33%가 20대 이하다. 이 비중이 20% 안팎에 불과한 5대 은행보다 월등히 높다. 신석영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은 “금융 서비스의 특징 중 하나는 소비자들의 선호가 한번 자리를 잡으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점”이라며 “금융 앱은 시장에 많지만 소비자가 실제 쓰는 앱은 소수에 불과하다. 빅테크의 MZ세대 고객 선점이 전통적 금융사의 위기감을 고조시키는 이유”라고 말했다.
금융사들은 MZ세대 잡기에 공을 들이고 있다. 하나은행이 Z세대 전용으로 내놓은 ‘아이부자’ 플랫폼과 신한은행의 20대 전용 브랜드 ‘헤이영’처럼 특화 서비스와 브랜드를 내놓은 것은 시작 단계에 불과하다. 금융사들은 디지털 친화적이고 브랜드보다 실리를 추구하는 MZ세대에 맞춰 금융업과 일상생활을 융합하는 ‘라이프스타일 플랫폼’으로 스스로를 재단장하고 있다. 우리은행이 택배, 신한은행이 배달 앱, 하나은행이 중고차 중개 등 전혀 새로운 비금융 서비스에 도전하며 본격적인 플랫폼화에 나선 게 한 가지 사례다.글로벌 금융사도 마찬가지다. JP모간은 세계 2위 완성차 업체 폭스바겐의 결제 플랫폼인 폭스바겐 파이낸셜 서비스의 지분 75%를 인수하고 자동 플랫폼산업에 진출했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