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하위 40%' 자가보유 47% 역대 최저

부동산 값 급등 직격탄 맞아
지하·반지하·옥탑방 거주 늘어
지난해 집을 보유한 저소득층(1~4분위) 비율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소 추세를 보여온 지하·반지하·옥탑방 거주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부동산 가격 급등이 저소득층 주거 생활에 더 큰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종배 국민의힘 의원이 14일 국토교통부와 국토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소득별 주택 자가보유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하위 40%(1~4분위)에 속하는 가구 중 집을 보유하고 있는 비율은 46.9%에 그쳤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후 최저 수치다. 이들 저소득층의 자가보유율은 2017년 49.3%에서 3년 새 2.4%포인트 낮아졌다. 부동산 가격 급등이 저소득층이 살 수 있는 중저가 아파트나 다가구주택, 빌라 등 가격까지 끌어올리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관측된다.반면 상위 20% 소득자(9~10분위) 중 집을 가진 비율은 2017년 79.9%에서 지난해 80.2%로 소폭 상승했다. 5~8분위 중위 소득자 가운데 집을 보유한 비율 역시 2017년 63.8%에서 2020년 64.5%로 높아졌다. 부동산 시장에서도 소득 계층 간 양극화가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지하·반지하·옥탑방에서 월세살이하는 사람들의 비율도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지하나 옥탑방에서 보증금 없이 월세를 내면서 살고 있는 비율은 2019년 1.6%에서 지난해 3.3%로 1년 만에 두 배 이상 상승했다. 이 수치는 2017년 1.8%, 2018년 2.4%, 2019년 1.6%로 등락을 거듭했다. 집값 급등에 임대차 3법 시행 후 전·월세난까지 겹친 결과라는 분석이다.

세대 간 부동산 양극화도 심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집을 가진 20·30대 비율은 2017년 34.2%에서 지난해 30.1%로 낮아졌다. 3년 새 4.1%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3년 새 40대(61.7%→63.9%), 50대(68.8%→69.5%), 60세 이상(76.2%→76.3%) 등에서는 집을 보유한 사람의 비율이 높아졌다.이 의원은 “저소득층과 청년을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겠다는 정부가 오히려 부동산 정책 실패로 그들을 괴롭히고 있다”며 “정책 방향을 완전히 전환하지 않는 이상 이들의 고통은 계속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