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中企·스타트업 고성장 이끈다…대구 스케일업 콘퍼런스 29일 개막
입력
수정
지면A28
대구시·한경 주최
2007년 시작된 스타기업 정책
연구개발·기술·마케팅 등 지원
올해까지 250여개 기업 육성
강소기업 성공사례·전략 공유
저성장 극복·고용 창출 기대
![안선희 릴리커버 대표가 화장품 제조 로봇 애니마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고 있다. 오경묵 기자](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495664.1.jpg)
![](https://img.hankyung.com/photo/202109/AA.27500603.1.jpg)
릴리커버가 이 같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데는 대구시의 창업 및 스타기업 정책과 대구테크노파크의 시제품 제작, 해외 마케팅 지원이 결정적 도움이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상에 없던 화장품 제조 로봇을 개념설계해 개발한 데는 대구의 ‘월드클래스300’ 기업인 대성하이텍(회장 최우각)과의 개방형 협력이 주효했다. 대구의 스타트업과 중견기업이 협력해 ‘대박’을 터뜨린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제2의 릴리커버를 발굴하기 위해 대구의 기업·도시 스케일업(고성장) 전략을 모색하는 ‘2021 대구 스케일업콘퍼런스’가 오는 29일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대구시와 한국경제신문사 주최로 열린다. 스케일업 기업은 최근 3년간 매출 또는 종사자 연평균 증가율이 20%를 넘는 고성장 중소기업을 의미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시의 스타기업 정책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스케일업 정책이 됐다”고 강조했다. 2007년 김범일 시장 재직 시절 시작된 대구 스타기업은 2014년 권 시장이 취임하면서 프리스타, 스타벤처로 범위가 확대됐다. 2018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가 대구의 스타기업 정책을 정부 정책으로 벤치마킹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내년까지 ‘지역스타기업’ 1000개를 육성할 계획이다.대구의 스타기업은 스타벤처(매출 30억원 미만)→프리스타(20억~120억원)→스타기업(120억~1000억원)→지역스타기업→글로벌 강소기업→월드클래스300으로 이어지는 스케일업 단계를 밟으며 성장하고 있다. 시는 9월 현재 20개의 스타벤처기업, 143개의 프리스타기업, 99개의 스타기업 등 250여 개의 스타기업을 육성 중이다. 그동안 프리스타에서 스타, 또는 글로벌 강소기업과 월드클래스300 등 윗단계 기업으로 성장한 사례는 188곳에 달한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