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전 5000만원 들여 산 아파트가 지금 10억…그가 옳았다"
입력
수정
"일하면 뭐하나"…의욕 잃는 청년들대기업에 다니는 6년 차 직원 박준영 씨(33·가명)는 사내 동료들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다. 박씨는 2017년 서울 강북에서 4억5000만원짜리 아파트를 전세 4억을 끼고 ‘갭투자’로 샀다. 실투자금은 5000만원이었다. 당시 박 씨는 목돈이 전혀 없어 전액을 회사 대출을 이용했다. 4년이 지난 지금 그 아파트의 시세는 10억원이 훌쩍 넘는다. 30대 초중반의 나이에 10억원 이상 이상의 자산을 가지게 된 것이다. 이런 박씨를 두고 동료들은 물론 선후배들까지 “월급을 차곡차곡 저축해 ‘내 집 마련’을 하겠다는 생각이 어리석었다”며 “박씨가 옳았다”고 수근댄다.
연일 집값이 급등하면서 박씨처럼 일찌감치 부동산에 투자한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과의 자산불평등이 커지고 있다. 사회적으론 월급을 모아 내 집을 마련한다거나 저축을 통해 자산을 형성하겠다는 기대가 무너지고 있다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근로 의욕마저 꺾이고 있는 현실이다.실제로 서울 중산층이 월급을 모아 내 집 마련을 하려면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18년 이상을 모아야 한다. 15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서울 3분위 가구, 3분위 주택의 자가 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 구입가격 배수(PIR)은 18.5로 2008년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3분위 소득 가구가 같은 3분위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18년 6개월 동안 월급 전부를 저축해야 한다는 의미다.
이번에 기록한 3분위 PIR 18.5는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문재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5월만 해도 3분위 PIR 값은 10.9였지만 약 4년 만에 값이 7.6 늘어났다. 현 정부 출범 초와 비교해 일반적인 직장인 가구의 내 집 마련 기간이 8년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KB 통계에 따른 서울의 3분위 주택 가격은 올 8월 기준 10억8337만 원이다. 2017년 5월 5억1602만 원이었던 것이 약 4년 사이에 두 배 이상(109.9%) 올랐다. 반면 소득 상승세는 더디다. 한국경제연구원이 고용노동부의 '고용 형태별 근로 실태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기준 국내 전체 임금근로자 1544만명의 평균 연봉은 3634만원이었다. 2017년 평균 연봉(3475만원)과 비교하면 4.5% 오르는 데 그쳤다. 올해 연봉 상승분을 감안하더라도 주택 가격 상승세을 따라잡기는 턱없이 부족하다.이처럼 소득과 동떨어질 정도로 자산가격이 급등하면, 열심히 일해 ‘내 집’을 마련하겠다는 유인이 사라진다. 회사원 양모 씨(35)는 최근 좌절감을 크게 느끼고 있다. ‘워커홀릭’으로 유명하던 그는 업무 능력을 인정 받아 올 초 스카웃 제의를 받고 이직을 했다. 연봉도 2000만원 가까이 올랐다. 그러나 뿌듯함도 잠시. 전 직장에서 업무에 소홀해 평이 좋지 않던 후배가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을 통해 서울 외곽 지역에 아파트를 샀다는 이유만으로 수억원을 벌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양 씨는 “무엇을 위해 밤낮 없이 일에 매달렸는지 회의감이 든다”며 “아무리 연봉이 올라도 낡은 전셋집 하나 얻기도 어려운 데 야근할 시간에 부동산 공부를 해 집이나 살 걸 그랬다”고 푸념했다. 양 씨는 지금이라도 대출을 끌어모아 구축 빌라라도 매매할 생각이다. 양 씨처럼 지금이 계층 분화의 막차라는 불안심리는 20~30대의 대출을 크게 늘리는 요인으로도 작용하는 중이다. 한국은행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기준 2030세대의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446조5000억원으로 1년 전(391조1000억원)에 비해 55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 중 은행권 대출금 잔액은 259조6000억원으로, 1년간 44조7000억원 불었다. 증가율은 20.5%로 같은 기간 은행권 전체 세대 부채 증가율(10.3%)의 약 두 배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