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야' 공급 총력 나선 정부…"난개발·투기수요 부추길라"

도시형생활주택 주거공간, 최대 4개
오피스텔 바닥난방 설치 기준 완화

자투리 땅에 우후죽순, 난개발 초래 가능성
"아파트 규제 회피 위한 풍선효과 유의"
정부는 전용 120㎡ 이하 중대형 오피스텔의 바닥난방을 허용하기로 했다. 1~2인 가구용 오피스텔이 밀집해 있는 서울 마포구 만리재로 일대. /김영우 기자
수도권 집값이 치솟자 다급해진 정부가 공급책을 내놨다. 도시형생활주택, 오피스텔 등 비(非)아파트로 공급량을 늘리겠다는 방안이다. 도시형생활주택은 방 개수를 늘리고, 오피스텔 바닥 난방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했다.

이번 대책을 두고 전문가들은 이제라도 불필요한 규제를 풀어주겠다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단기적으로 주택 공급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다는 점에서다. 하지만 아파트보다 주거 질이 낮은 비아파트가 공급돼 주거 환경이 악화될 수 있고, 전매 제한 등 거래 규제가 없다보니 투기 수요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도시형 생활주택·오피스텔 공급…"단기 측면 긍정적"

1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 15일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도심 주택공급 확대 및 아파트 공급속도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형’으로 개편해 기존 전용 50㎡ 이하에서 60㎡ 이하로 완화한다. 주거공간도 당초 2개에서 최대 4개(침실 3, 거실 1등)까지 완화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도심 내 우수 입지에 2~3인 가구가 쾌적하게 거주 가능한 주거 공간을 공급하겠다는 계획이다. 다만 규제가 완화된 가구는 전체 가구의 3분의 1 이하로 제한해 부대시설 과부하를 막는다.

주거용 오피스텔의 기준도 바뀐다. 오피스텔 내 바닥 난방 설치가 허용되는 면적 기준을 기존 전용 85㎡에서 전용 120㎡까지 확대한다. 이를 통해 도심 내 중대형 오피스텔 공급을 촉진한다는 계획이다. 도시형생활주택은 2~3인 가구를 위한 전용 59㎡ 아파트, 오피스텔은 3~4인 가구가 선호하는 전용 85㎡ 아파트의 대체재가 될 전망이다.국토부 관계자는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은 상대적으로 젊은 층, 2~3인 가구 등이 선호하는 주거 유형"이라며 "이들 주거 형태는 도심 내 자투리 땅을 활용해 단기간 내 공급이 가능해 주택 수급 상황 개선, 전세시장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도 단기적으로 주택 공급이 이뤄진다는 점에서 대체로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조기 공급을 통해 향후 2~3년 간 서울과 수도권 등 도심 주택공급을 단기 확대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전세시장의 공급원으로써도 기여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했다.
사진=뉴스1

난개발·투기수요 자극…해결해야할 '숙제'

부작용도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은 자투리땅에 지어지기 때문에 단지 규모가 커지기는 어렵다.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면 아파트를 중심으로 도로, 조경 등 인프라가 개선되지만 규모가 작은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 등은 주거 환경을 더 악화시킨다는 얘기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도시형 생활주택은 소음방지 시설이나 주차장 설치 의무가 없는 등 인근 지역의 주거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비교적 중소 사업자들이 진입하기 쉬워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게 되면서 난개발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들 주거 형태는 청약통장이 없이 청약금만으로 청약이 가능하고, 당첨 이후에도 전매제한이나 실거주 규제가 없기 때문에 분양시장의 투기적 수요가 유입될 수 있다. 함영진 랩장은 "다주택자들이 대출, 세제, 청약 등 아파트 규제를 회피할 목적으로 흘러들어올 수 있다"며 "풍선효과에 따른 부작용을 주의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지 않아 고분양가 논란에 휩싸일 가능성도 있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다르면 2016년 이후 분양된 1809개 주택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 상위 10곳 중 8곳이 도시형 생활주택이었다.

소병훈 의원은 "최근 건설사들이 양질의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는 부지에서도 분양가 규제를 피하고자 도시형생활주택을 공급하는 편법 분양, 꼼수 분양을 하고 있다"며 "저렴한 소형주택 공급을 위해 도입한 도시형생활주택 제도가 고분양가를 받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