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2028년까지 모든 상용차 라인업에 수소연료전지 적용

지난 8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 수소모빌리티+쇼’에서 관람객들이 수소 기반 미래 모빌리티인 ‘트레일러 드론’을 관람하고 있다. 김범준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이 2040년을 수소에너지 대중화의 원년으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지난 7일 발표한 ‘수소비전 2040’을 통해서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주요 기업 중 가장 먼저 수소에 대해 연구하고, 관련 제품을 선보였다. 국내 수소산업의 선두주자로서 대중화도 이끌겠다는 의미다.

수소 대중화 시작됐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에너지 대중화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도 공개했다. 당장 앞으로 내연기관으로 구동하는 상용차 신모델을 출시하지 않는다. 내년 상반기엔 국내에서 엑시언트 수소전기트럭을 양산한다. 2028년까지 모든 상용차 라인업에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할 예정이다. 세계 자동차업계 최초다.유럽 중대형 상용차 시장에도 본격적으로 진출한다. 현대차는 연 40만 대 규모의 이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장(길이) 5~7m 수준의 수소연료전지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를 개발하고 있다.

새로운(3세대) 수소연료전지시스템도 2023년 내놓을 계획이다. 이번에 공개된 시제품은 100㎾급과 200㎾급이다. 100㎾급 연료전지시스템은 기존 2세대 시스템 대비 부피가 30% 줄어든다. 상용차용으로 개발하고 있는 200㎾급 연료전지시스템은 수소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넥쏘에 장착된 것과 크기는 비슷하지만, 출력은 두 배가량 커진다.

차세대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은 가격도 현재보다 절반 수준으로 떨어진다. 현대차그룹은 2030년께 수소전기차와 전기차의 가격이 비슷한 수준이 될 수 있도록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3세대 연료전지시스템은 자동차에만 장착되는 게 아니다. 대형 선박, 기차, 건물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누구나, 모든 것에, 어디에나 수소에너지를 쓸 수 있는 수소사회’라는 목표를 세운 것도 이 수소연료전지의 특성을 감안해서다.

고성능 수소차도 나온다

현대차그룹은 자동차 외 다른 미래형 수소 모빌리티(이동수단)도 준비하고 있다. 무인 운송 시스템 콘셉트 모빌리티인 ‘트레일러 드론’이 대표적이다. 바퀴가 달린 차대인 ‘이-보기’ 2대 위에 트레일러가 얹혀 있는 형태다. 일반 트레일러보다 좁은 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다. 수소를 원료로 움직이며, 무인으로 완전 자율주행이 가능하다. 1회 충전하면 1000㎞ 이상 주행할 수 있다. 트레일러 드론은 지난 8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2021 수소모빌리티+쇼’에서 실물이 공개되기도 했다.

현대차그룹은 고성능 수소연료전지차도 개발하고 있다. 이번엔 콘셉트카인 ‘비전 FK’가 공개됐다. 이 차에는 연료전지와 고성능 파워 일렉트릭(PE) 시스템이 결합돼 있다. 1회 충전으로 600㎞를 주행하는 게 목표다. 출력은 500㎾ 이상,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에 도달하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제로백)은 4초 미만이다.

이-보기에 비행 드론과 소방용 방수총을 장착한 ‘레스큐 드론’, 수소전기차에 수소를 충전하는 설비가 장착된 이동식 수소충전소 ‘H 무빙 스테이션’ 등도 현대차그룹이 개발하고 있는 제품들이다.

정의선 회장이 진두지휘

현대차그룹의 수소비전 선언은 정의선 회장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이날 직접 설명을 맡았고, 온라인으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기도 했다. 그는 “기후 변화 대응은 수소에너지 없이 불가능하다”며 “수소사회로의 전환은 개별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지만, 현대차그룹은 더 이상 지켜볼 수만은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국내 15개 그룹 및 기업이 참여한 수소기업협의체인 ‘코리아 H2 비즈니스서밋’ 창립도 주도했다. 그는 창립식에서 “수소산업 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우리나라가 상대적으로 늦었지만 못할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의 수소 관련 제품은 이미 세계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현대차가 세계 최초로 양산한 수소전기트럭은 스위스 등에 수출됐다. 최근엔 세계 최대 모터쇼 중 하나인 ‘IAA 모빌리티 2021’에서 상을 받기도 했다. 이 차량은 대체 에너지 차량 부문 ‘베스트 모빌리티상’을 받았다.

도병욱 기자 dod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