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다 파산설'…글로벌 금융시장 출렁
입력
수정
지면A1
中 증시 혼조세…日은 급락중국 2위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의 파산 가능성이 고조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다. 헝다그룹 사태로 중국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 관련 기업의 파산 사례가 속출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헝다, 23일 이자 상환할지 관건
22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0.26% 상승한 34,006.87로 거래를 시작했다. 전날 0.15% 떨어지며 S&P500지수와 함께 4거래일 연속 하락했지만 장 초반 상승세로 반등했다. S&P500지수도 0.3% 상승 출발했다. 다우지수는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가 크게 부각된 지난 20일에는 614.41포인트(1.78%) 급락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21일 전 거래일보다 2.17% 급락한 29,839.71에 마감하며 30,000선 아래로 떨어진 데 이어 22일에도 0.67% 하락했다. 미 중앙은행(Fed)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내놓을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방안 등을 두고도 투자자들의 경계심리가 커졌다.
추석 연휴를 마치고 22일 개장한 중국 증시는 혼조세를 보였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4% 급락 출발했으나 헝다그룹이 23일 지급 예정인 채권 이자 일부를 제때 상환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상승 반전했다. 헝다가 상장된 홍콩증시는 이날 휴장(추석 연휴)했다. 홍콩 항셍지수는 헝다그룹 리스크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지난 10일 이후 7% 넘게 빠졌다.
헝다그룹은 지방 소도시에 넓은 땅을 확보한 뒤 저가 소규모 주택을 대량으로 공급하는 전략으로 중국 2위에 오른 부동산개발업체다. 아파트를 짓기 전에 받는 선수금과 은행 대출 등 부채에 과도하게 의존하다가 중국 정부가 부동산 가격을 통제하고 대출을 규제하면서 위기에 처했다.헝다그룹의 부채는 지난 6월 말 기준 1조9665억위안(약 359조원)에 달한다. 현금이 바닥나 하도급업체와 소액채권자들에게는 아파트, 상가 같은 현물로 상환하고 있다. 헝다그룹이 파산하면 그 여파가 금융권과 하도급업체로 번질 전망이다.
중국 정부가 헝다를 비롯한 부동산개발업체의 부채 문제를 지속적으로 관리해 왔다는 점에서 그 여파는 크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중국 당국이 헝다에 지속적인 구조조정을 요구하는 한편 채권자들에게도 유예 기간을 주도록 유도해 충격을 최소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