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긴축 시계' 빨라졌어도 완화기조 유지…9월 고용지표가 변수

Fed "테이퍼링 곧 시작…내년 중반에 마무리"

Fed '인플레 목표치 초과' 판단…테이퍼링 일정 내놨지만
파월 "기준금리 인상 위한 조건은 테이퍼링보다 훨씬 엄격"
내달 고용시장 개선 여부 지켜본 뒤 긴축정책 속도 결정할듯
< ‘한경 글로벌마켓’ 뉴욕·워싱턴서 동시 중계 > 김현석 뉴욕특파원(가운데)과 정인설 워싱턴특파원(오른쪽)이 ‘한경글로벌마켓’ 유튜브 채널을 통해 지난 22일 끝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와 제롬 파월 중앙은행(Fed) 의장의 성향을 각각 설명하고 있다. 한경글로벌마켓은 지난 추석 연휴에도 해외 증권시장에 대한 실시간 보도와 방송을 통해 수많은 구독자와 시청자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미 중앙은행(Fed)이 22일(현지시간)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 일정을 시장 예상보다 앞당긴 것은 물가 상승 압박이 크다고 판단해서다. 이 때문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의 절반이 내년에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제롬 파월 Fed 의장은 금리 인상 조건이 아직 충족되지 않았다며 기존의 완화적 정책 기조를 이어갈 뜻을 밝혔다. 시장에서는 9월 고용 지표 개선 여부가 Fed 긴축정책의 속도를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속적 물가 상승에 테이퍼링 착수

이날 나온 FOMC의 성명서에는 지난 7월 성명서에 들어갔던 ‘인플레이션이 대체로 일시적인 요인을 반영해 상승 중’이라는 표현이 빠졌다. 그 대신 ‘물가상승률이 높은 상태’라는 문구가 들어갔다.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진행돼 Fed 목표치를 넘어섰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Fed가 올해 미국의 개인소비지출(PCE) 상승률 전망치를 종전의 3.4%에서 4.2%로 대폭 높인 것도 같은 맥락이다. Fed가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핵심 참고 지표로 삼는 근원 PCE(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 전망치 역시 3.0%에서 3.7%로 상향 조정했다. 근원 PCE 기준으로 2022년과 2023년 인플레이션 예상치도 모두 높였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파월 의장의 기존 발언과는 온도 차가 나는 대목이다.

파월 의장 역시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급망 병목이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있고 예상보다 오래가고 있다”며 인플레이션 장기화 가능성을 시인했다. 이어 “테이퍼링을 기준으로 보면 물가는 이미 목표치 이상을 달성한 것으로 보이며 고용도 거의 충족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 이르면 11월 테이퍼링을 시작해 내년 중반에 끝낼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여건은 달라”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지자 금리를 올려야 한다고 주장하는 FOMC 위원도 많아졌다. 18명의 위원 중 9명이 내년에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올 6월 FOMC 때의 7명에서 2명 늘어났다. 2023년 금리 인상을 예상하는 위원 수도 13명에서 17명으로 증가했다. 이에 대해 파월 의장은 “1명을 제외한 모든 FOMC 위원이 2023년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다”며 후년 금리 인상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은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착수 여건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금리 인상을 위한 조건은 테이퍼링보다 훨씬 엄격하다”며 “테이퍼링을 시작할 때는 금리 인상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테이퍼링은 내년 중반에 끝나더라도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으로 경기 회복이 늦어지면 금리 인상까지는 시차가 있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Fed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낮췄다. 6월 FOMC 때 올해 7.0%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으나 이번에 5.9%로 1.1%포인트 내렸다. 올해 실업률도 6월에는 4.5%로 전망했다가 이번에는 4.8%로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시장에서는 고용 지표가 Fed의 정책 방향을 결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달 초 미 노동부가 발표한 8월 비농업 일자리는 시장 전망치의 3분의 1도 안 되는 23만5000개 증가에 그쳤다. 다음달 초 나올 9월 일자리 지표가 7월 수준으로 좋아지고, 이후에도 고용 지표가 계속 개선되면 테이퍼링 종료 뒤 금리 인상 시기가 당겨질 수 있다. 테이퍼링을 거쳐 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 완화 정책의 시대가 막을 내리고 통화정책의 방향 전환이 이뤄지는 셈이다.

워싱턴=정인설 특파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