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부채규제 타깃된 헝다…"연쇄 부도 불가피" [허란의 경제한끼]
입력
수정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이사 인터뷰경제한끼는 내 자산을 지키는 든든한 인터뷰 콘텐츠입니다. 유튜브 채널 한경 글로벌마켓에서 '허란의 여의도나우'로 먼저 만날 수 있습니다.
중국 부동산기업 2위 헝다
다음주 상환 이자 400억원 규모
파산 해체 수순 불가피
中 정부 레버리지 규제 1호
공산당 공동부유로 본보기
연쇄부도 이어질 듯
중국 2위 부동산기업 헝다그룹이 23일 도래한 약 900억원(8353만달러) 규모의 부채 이자를 상환하면서 최악의 상황은 일단 피했는데요. 헝다그룹의 생존 싸움은 이제 시작일 뿐 결국 해체 수순을 밟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글로벌투자전략팀장 겸 이사는 23일 유튜브채널 한경 글로벌마켓 ‘허란의 여의도나우’에 출연해 “다음주 수요일에 도래하는 달러채권 이자 규모가 약 400억원이며 연말까지 총 30조원 규모의 채권 만기가 돌아온다”며 “헝다그룹의 생존싸움은 이제 시작일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중 공산당, 과연 헝다그룹 살릴까?
총 부채 규모가 350조원에 달하는 헝다그룹의 주요 채권자는 중국 국유 은행으로 헝다그룹의 생사는 공산당의 손에 달려 있는 상황입니다.
허 이사는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는 중국 정부의 레버리지(부채) 규제로 시작된 것”이라며 “중국 공산당은 헝다그룹을 본보기로 문어발식 부채 경영은 생존하기 어렵다는 것을 강력하게 말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헝다그룹은 중국 정부의 레버리지 규제 1호 타깃인 만큼 결국 해체 수순을 밟게 될 것으로 허 이사는 예상했습니다.
그는 “가장 현실적인 시나리오는 중국 자산관리공사로 자산을 이전하고 국영 및 민간 건설사가 아파트 건설 프로젝트를 나눠서 인수하는 방식으로 헝다그룹은 해체수순을 밝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헝다 이후 연쇄부도 불가피
헝다그룹은 부동산과 부채를 기반으로 한 중국 경제성장의 상징으로 통합니다. 중국 부동산 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28%에 달합니다. 그만큼 헝다 사태는 시진핑 정부의 공동부유(共同富裕) 정책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는 설명입니다.
허 이사는 “중국 정부가 원하는 것은 구조조정”이라며 “헝다 사태를 시작으로 연쇄부도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러면서 “최대 피해는 중소형 부동산 개발회사와 지방은행이 될 것”이라며 “대형 부동산 기업은 부채 축소 노력을 계속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금융위기로 번질 가능성은
하지만 헝다그룹 파산이 2008년 리먼 사태처럼 글로벌 금융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헝다그룹의 부채 규모는 중국 금융자산의 0.65%에 불과하고 중국 은행의 대손충당금은 4%에 달하는 만큼 감당 못할만한 수준의 부채 규모는 아니라는 설명입니다.
그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부채담보부증권(CDO)라는 파생상품이 끼어들었지만 헝다그룹의 채무 상황은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금융시스템 위기로 확전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 중국 주택 가격이 여전히 오르는 등 부동산 시장이 꺾이지 않고 있는 점도 2008년 금융위기 때와는 다릅니다.
주식 시장 영향은
중국 증시는 한동안 중국 증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럼 언제쯤 저점 매수 기회를 엿볼 수 있을까요? 중국 시장 위험은 한국 등 아시아 증시엔 얼마나 악영향을 미칠까요? ▷자세한 내용은 한경 글로벌마켓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