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임금 못준 헝다…'디폴트 우려' 커졌다
입력
수정
지면A11
23일 달러이자 결국 지급 못해파산 위기에 몰린 중국 2위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이 지난 23일로 예정됐던 달러표시채권 이자를 제대로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헝다가 지급 여부에 대해 침묵을 지키면서 글로벌 투자자들의 혼란은 커지고 있다. 헝다그룹의 몰락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전기자동차 계열사는 임직원들에게 임금을 체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계열사는 직원급여 밀려
헝다, 中 당국 구제 기대하지만
관영 매체는 "큰 기업 아니다"
中은행들 "대출부담 크지 않아"
디폴트까지 30일 시간 벌기?
24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헝다가 발행한 달러채권을 보유한 미국의 한 투자자는 전날까지 헝다로부터 이자를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헝다는 2022년 3월 만기 달러채권의 이자 8350만달러(약 993억원)와 2025년 9월 만기 위안화채권 이자 2억3200만위안(약 425억원)을 23일 지급해야 했다.채무불이행(디폴트) 우려가 커지자 헝다는 22일 성명을 통해 2억3200만위안의 위안화채권 이자 지급 문제는 ‘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를 두고 시장에선 헝다가 이자를 전부 지급한 것이 아니라 채권 보유자와 협상해 부분 지급 또는 지급 기한 연장 등의 미봉책을 썼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또 23일 달러채권 이자를 지급했는지에 대해선 아무런 입장을 내지 않았다.
달러채권 이자를 결국 지급하지 못한 것으로 업계는 추정하고 있다. 채권 계약서상으로는 이자 지급일로부터 30일 이내까지는 공식 디폴트를 낸 것으로 보진 않는다. 디폴트가 나면 채권자는 법원에 헝다의 파산 절차 개시를 신청할 수 있다.헝다가 근본적인 유동성 위기를 넘지 못하고 앞으로 30일 동안 시간 끌기에 나설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중국 당국의 구제를 기대하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하지만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자국 전문가들을 인용해 “헝다는 대마불사(大馬不死)라고 할 정도로 큰 기업이 아니다”고 보도했다. 정부의 구제 가능성을 낮게 본 것이다.
헝다 부동산 부문 국유화되나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중앙정부가 지방정부들에 헝다의 몰락에 대비할 것을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 역시 중국 당국이 헝다에 시간을 주면서 점진적인 구제에 나설 수도 있을 것이란 기대와는 상반된 신호다. 지방정부에 내려온 지시는 △사회 불안 차단 △일자리 감소 대비 △주택 구매자 및 경제 전반에 대한 파장 완화 등이다.또 회계사와 법률 전문가 등을 긴급 소집해 각 지역의 헝다그룹 재무 상태를 조사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헝다그룹이 추진해 온 부동산 건설 프로젝트의 원활한 인수를 준비하는 한편 시위 등에 대비하라고도 요구했다. 일각에서는 당국이 사회·경제적 파장을 통제하기 위해 헝다의 부동산사업 부문을 떼내 국유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헝다의 유동성 위기가 부각되자 중국 은행들은 일제히 “헝다에 대한 대출 부담이 크지 않다”며 불안감 해소에 나서고 있다. 헝다의 채권자 중 하나인 저상은행은 상하이거래소가 운영하는 사이트에 “헝다에 38억위안(약 6900억원)을 대출했으며 충분한 담보를 확보했기 때문에 관리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광다은행, 민성은행, 공상은행도 액수는 밝히지 않은 채 비슷한 내용의 공고를 냈다.
전기차 계열사는 임금 체불
블룸버그통신은 헝다그룹 전기차업체 헝다자동차가 일부 직원에게 급여를 주지 못했다고 보도했다. 헝다차는 헝다그룹의 무리한 사업 확장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꼽힌다. 2019년 설립 이후 그룹 차원에서 3000억위안(약 54조원) 이상을 쏟아부었지만 아직 한 대의 차도 팔지 못했다. 당초 올해 1분기로 제시한 양산 시점은 내년 초로 연기됐다.헝다차 직원들은 매달 초 1차 급여를 받고 20일에 2차 급여를 받지만, 중간관리자급 직원들이 이달 2차 급여를 수령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헝다차는 협력업체들에도 지난 7월부터 공장 설비 대금을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헝다그룹의 채무 문제가 핵심 사업 이외의 영역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