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츄스무티(안녕 엄마)' 배웅하는 독일…두번째 기적 일군 메르켈

"쇼아(홀로코스트·대말살을 뜻하는 히브리어)는 독일인에게 가장 큰 수치다."

2008년 3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67)는 건국 60년을 맞은 이스라엘 의회를 찾아 고개를 숙였다. 수차례 과거사를 반성했던 독일이다. 하지만 현직 총리가 이스라엘 의회를 직접 찾아 사과한 것은 처음이었다. 그의 연설은 세계인에게 깊은 울림을 남겼다. 진정성 있는 태도에 주변 국가들도 메르켈을 유럽의 여왕으로 인정하며 화답했다.여왕이 퇴임한다. 26일 치러진 독일 하원 총선거 후 새 정부가 구성되면 메르켈은 총리 자리에서 스스로 내려온다. 2005년부터 16년 간 장기 집권하며 '무티(Mutti·엄마) 리더십'을 선보인 그다. 스캔들과 독재 없이 최장기간 재임한 메르켈이 가파른 경제 성장을 이끌며 독일에 두번째 라인강의 기적을 선물했다는 평가다.

'메르켈리즘'을 긍정으로 바꾼 무티 리더십

동독 출신 4선 여성 총리. 메르켈이 만든 역사다. 퇴임을 앞둔 그는 또 하나의 기록을 쓴다. 독일연방공화국 총리직 자리에서 스스로 물러난 첫 수장이 된다.

메르켈이 취임하던 2005년 11월 독일은 '유럽의 병자(sick man of Europe)'로 불렸다. 동·서독 통일 후유증으로 경제상황이 악화됐지만 돌파구를 찾지 못하면서다. 메르켈 재임 기간 독일은 유럽의 패권 국가로 변신했다. 영국 프랑스보다 두배 빠른 경제 성장을 일구면서 세계 경제의 중심에 섰다.메르켈은 전임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가 구축한 하르츠 개혁안을 뚝심있게 밀어붙였다. 노동시장 유연성을 높이고 사회 보장을 줄여 세금을 낮췄다. 노동시장 기능이 회복되자 실업률은 떨어졌다. 2005년 11%였던 독일 실업률은 지난달 기준 5.5%까지 내려갔다. 20년 만에 최저 수준이다. 민생은 빠르게 개선됐다. 자신의 경제 상태에 만족한다는 독일인은 70%에 육박한다.

위기마다 해결책을 내놓으면서 메르켈은 경제성장을 이끌었다. 2009년 금융위기 이후 독일 최대 산업인 자동차 시장이 흔들리자 차량구매 지원금을 늘리고 자동차세를 낮췄다. 대량해고를 막기 위해 노동단축 지원 프로그램(쿠어츠아르바이트)도 가동했다.

우직한 리더십에 독일인들도 마음을 움직였다. 독일에서 메르켈리즘은 권력을 과시하지 않고 다른 의견도 포용하는 힘 있는 리더십을 의미한다. 결정하지 못하고 우유부단하다는 의미의 독일 유행어 '메르켈하다(Merkln)'는 신중함과 심사숙고의 상징이 됐다.

美 트럼프 정부땐 '자유주의 수호자'로

1954년생인 메르켈은 독일 역사의 소용돌이를 그대로 안고 태어났다. 그는 스스로 신체 4분의 1에 폴란드 피가 흐른다고 말한다. 폴란드 태생인 메르켈의 할아버지는 독일 경찰을 지내며 폴란드 독립운동에 참여했다.

메르켈의 부모는 그가 태어난지 3개월 만에 동독으로 이주했다. 그의 아버지는 동독에서 환영받지 못하던 목사였다. 메르켈은 학창시절 공산주의 청년운동에 가입하고 라이프치히대(옛 카를마르크스대)에서 물리학을 전공한 사회주의 엘리트다.

1989년 베를린 장벽 붕괴는 메르켈이 정치에 참여하는 계기가 됐다. 민주화 운동에 뛰어들며 동독 민주당을 거쳐 동독 정부 대변인에 올랐다. 이후 통합된 독일 기독교민주연합 당대표를 지냈다.2016년 메르켈은 3선을 끝으로 정계 은퇴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마음을 바꿨다.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은 그를 만나 세계의 단합을 이끌어달라고 설득했다. 이듬해 4선에 나선 메르켈에겐 '자유 세계의 수호자'라는 수식어가 붙었다.

총리 재임기간 메르켈은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물론 조지 부시·오바마·트럼프 전 대통령과 마주 앉았다. 임기 동안 프랑스 대통령은 세번, 영국 총리는 네번 바뀌었다. 그가 상대한 지도자들은 바뀌었지만 유럽을 지켜낸다는 마음은 변치 않았다. 2009년 남유럽 재정위기 때는 '유로화가 무너지면 유럽이 무너진다'며 그리스 등에 긴축 개혁을 요구했다. 2015년엔 EU 회원국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시리아 등의 난민 100만여명을 수용했다.

원전 폐쇄·코로나 대응 두고 비판도

퇴임 직전 닥친 코로나19 위기 대응 등에선 평가가 엇갈린다. 임기 내내 노동 유연성이 커졌지만 공공부문 투자가 부족해 양극화가 심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유럽 경제 1위인 독일이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지닌 유로화 덕에 수출 강대국으로 무임승차했다는 비판도 있다.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탈원전 정책에 속도를 낸 것도 과오로 남았다. 친환경 에너지 전환 속도가 늦어지면서 여전히 석탄 에너지에 의존하고 있어서다. 최근 독일을 덮친 홍수 사태 이후 환경정책에 대한 비판 목소리는 더 커지고 있다.

메르켈 후임은 안갯속이다. 유럽연합 수장의 바통은 2017년 취임한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이 잇게 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독일에선 올라프 숄츠 사회민주당 대표, 아르민 라셰트 기독민주·기독사회당 대표, 안날레나 베어복 녹색당 대표 등이 각축을 벌이고 있다. 독일과 유럽이 16년 만에 정치적 불확실성 속에 놓였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메르켈이 속한 기독민주·기독사회당은 고전하고 있다. 녹색당과 연립 정부 수립 계획을 밝힌 사회민주당은 탄소중립정책, 부자 증세 등을 공약으로 내걸고 표를 얻고 있다. 일각에선 독일 역사상 처음으로 3당 연립정부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총선 후 독일 의회는 비밀투표를 거쳐 총리를 선출한다. 연정 협상이 늦어지면 메르켈 퇴임식은 해를 넘길 수도 있다. 하지만 내려갈 때를 아는 정치인으로 남은 그의 마지막 길에 세계인들은 박수를 보내고 있다. '츄스 무티(Tschüss Mutti·안녕 엄마)'. 그를 향한 독일인들의 작별 인사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