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 이틀째부터 매일 2~3분씩 지각하는 신입사원, 어쩌죠?"
입력
수정
최근 온라인상에서 상습적으로 지각을 하는 팀원에게 주의를 줘야 할지 고민이라는 사연이 공개됐다.
사연을 공개한 A씨에 따르면 그의 회사에 새로 입사한 B씨는 출근 둘째 날부터 지각을 하기 시작했다. 크게 늦는 건 아니었지만 3분, 5분 지각이 계속됐다.이를 지켜만 보던 A씨는 결국 조용히 B씨를 불러 "요즘 힘든 업무가 있느냐"고 물었고, B씨는 "평소 늦잠 자던 습관이 있어서 지각을 하는 것 같다"며 바로 사과했다. 미안해하는 B씨의 태도에 A씨는 잦은 지각은 본인에게 단점이 될 수 있다고 주의를 주고 면담을 마무리했다.
이후 B씨는 며칠간 지각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 가지 않았다. B씨는 다시 상습적으로 2, 3분씩 늦게 회사에 도착했다. A씨는 반복되는 지각이 거슬렸지만 단 몇 분 차이였기에 선뜻 B씨에게 다시 주의를 주지 못했다. 고민 끝에 주변 친구들에게 물어보기도 했는데, '그 정도는 봐줘라', '시간이 중요한 게 아니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는 거다' 등 의견이 분분했다.
A씨는 "우리 회사는 6시 칼퇴에 야근하는 직원도 없다. 심지어 금요일에는 30분 일찍 퇴근 시켜주기도 한다. 업무량도 많지 않거니와 그 직원은 집도 회사와 20분 거리로 가깝다"며 "주의를 주고 정리하는 게 맞는 건지, 고작 몇 분 가지고 꼰대처럼 구는 건 아닌지 헷갈린다"고 하소연했다.해당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잦은 지각은 근무태만 아닌가", "1분이라도 지각하는 사람들은 그 버릇 못 고친다", "다들 집이 가까우면 더 지각하더라", "지각할 때마다 사유서 제출하라고 하면 되지 않을까", "출근시간은 지키라고 있는 건데 황당하네", "여럿이 일하는 회사에서 한 명이 그러면 분위기 해이해진다", "돈 받고 일하는 건데 상습 지각은 용납 안 되지", "지각하는 본인도 마음은 편하지 않을 테니 다시 한번 대화를 해보는 건 어떨지", "나도 지각 잦은데 유연근무제 시행하는 회사 들어가니까 너무 편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정확한 시간 준수는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요소로 손꼽힌다. 한 취업포털이 직장인 1089명을 대상으로 '직장 에티켓'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실력이나 업무 성과보다는 성실함 및 태도가 비호감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응답자들은 일을 하지 않고 회사에서 놀거나, 내 일이 아니면 협조를 안 하거나, 또는 성과가 잘 나오면 내 탓 아니면 남 탓하는 동료들에게 비호감을 느낀다고 했다. 반복되는 지각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만년 지각생'형도 비호감 유형으로 꼽혔다.면접 자리에서도 시간 개념은 첫인상을 좌우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취업포털이 인사담당자 2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면접 시 광탈을 부르는 최악의 지원자 유형'을 묻는 문항에서 '면접 시간에 지각하는 지원자'(36.9%)가 1위로 꼽혔다. 이 경우 인사담당자 55%는 '별다른 내색을 하지 않고 그냥 채용에서 탈락시킨다'고 답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
사연을 공개한 A씨에 따르면 그의 회사에 새로 입사한 B씨는 출근 둘째 날부터 지각을 하기 시작했다. 크게 늦는 건 아니었지만 3분, 5분 지각이 계속됐다.이를 지켜만 보던 A씨는 결국 조용히 B씨를 불러 "요즘 힘든 업무가 있느냐"고 물었고, B씨는 "평소 늦잠 자던 습관이 있어서 지각을 하는 것 같다"며 바로 사과했다. 미안해하는 B씨의 태도에 A씨는 잦은 지각은 본인에게 단점이 될 수 있다고 주의를 주고 면담을 마무리했다.
이후 B씨는 며칠간 지각을 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것도 오래 가지 않았다. B씨는 다시 상습적으로 2, 3분씩 늦게 회사에 도착했다. A씨는 반복되는 지각이 거슬렸지만 단 몇 분 차이였기에 선뜻 B씨에게 다시 주의를 주지 못했다. 고민 끝에 주변 친구들에게 물어보기도 했는데, '그 정도는 봐줘라', '시간이 중요한 게 아니다.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는 거다' 등 의견이 분분했다.
A씨는 "우리 회사는 6시 칼퇴에 야근하는 직원도 없다. 심지어 금요일에는 30분 일찍 퇴근 시켜주기도 한다. 업무량도 많지 않거니와 그 직원은 집도 회사와 20분 거리로 가깝다"며 "주의를 주고 정리하는 게 맞는 건지, 고작 몇 분 가지고 꼰대처럼 구는 건 아닌지 헷갈린다"고 하소연했다.해당 사연을 접한 네티즌들은 "잦은 지각은 근무태만 아닌가", "1분이라도 지각하는 사람들은 그 버릇 못 고친다", "다들 집이 가까우면 더 지각하더라", "지각할 때마다 사유서 제출하라고 하면 되지 않을까", "출근시간은 지키라고 있는 건데 황당하네", "여럿이 일하는 회사에서 한 명이 그러면 분위기 해이해진다", "돈 받고 일하는 건데 상습 지각은 용납 안 되지", "지각하는 본인도 마음은 편하지 않을 테니 다시 한번 대화를 해보는 건 어떨지", "나도 지각 잦은데 유연근무제 시행하는 회사 들어가니까 너무 편하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정확한 시간 준수는 사회생활에서 중요한 요소로 손꼽힌다. 한 취업포털이 직장인 1089명을 대상으로 '직장 에티켓' 관련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실력이나 업무 성과보다는 성실함 및 태도가 비호감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응답자들은 일을 하지 않고 회사에서 놀거나, 내 일이 아니면 협조를 안 하거나, 또는 성과가 잘 나오면 내 탓 아니면 남 탓하는 동료들에게 비호감을 느낀다고 했다. 반복되는 지각으로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만년 지각생'형도 비호감 유형으로 꼽혔다.면접 자리에서도 시간 개념은 첫인상을 좌우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취업포털이 인사담당자 2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면접 시 광탈을 부르는 최악의 지원자 유형'을 묻는 문항에서 '면접 시간에 지각하는 지원자'(36.9%)가 1위로 꼽혔다. 이 경우 인사담당자 55%는 '별다른 내색을 하지 않고 그냥 채용에서 탈락시킨다'고 답했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