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방영토'가 뭐길래…한국 국회에 소환된 러·일 영토분쟁[송영찬의 디플로마티크]
입력
수정

강창일 주일 한국대사가 지난 6일 화상으로 진행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주일대사관 국정감사에서 소리를 치며 이렇게 말합니다. 앞서 대사 내정자 시절이던 지난해 12월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과의 간담회에서 “(일본이) 북방영토를 러시아에 빼앗겨 점유당했다”고 한 발언을 지적한 조태용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외교부 'NCND' 원칙을 깬 강창일 대사

정부가 관련 입장 자체를 내는 것을 꺼리는 북방영토가 한국 정치권에 등장하게 된 것은 10년 전인 201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때도 그 핵심에는 당시 야당(민주당) 의원이었던 강창일 대사가 있었습니다. 2011년 5월 국회 독도특별위원회 소속의 강창일, 문학진, 장세환 의원이 한국 국회의원으로서는 처음으로 북방영토 중 한 곳인 쿠나시르섬을 방문했습니다.
특히 일본 자민당 내 강경파 의원들은 울릉도를 통해 독도에 입국하기 위해 한국에 입국했다가 김포공항에서 ‘대한민국의 이익이나 공공의 안전을 해치는 행동을 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사람’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출입국관리법 규정에 따라 입국이 거부되기도 합다. 당시 정부와 민주당 지도부는 “순수하게 개인적인 차원”이라며 선을 그었지만 동일본 대지진 직후 한국의 대규모 구호성금 등으로 비교적 순탄하던 한·일 관계에 엄청난 악재로 작용했습니다.
지난해 말 강 대사가 당시 “북방영토는 러시아 영토”라는 발언을 했다고는 것이 알려지며 강 대사의 주일대사 내정에 대한 일본 내 반발도 거셌습니다. 이 반발을 의식한듯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에 빼앗겨 점유 당했다는 취지로 말했는데 제대로 전달되지 않았다”고 해명한 발언이 10개월여만에 다시 국회로 소환된 것입니다.
분쟁의 발단이 된 샌프라시스코 강화조약
20여년 뒤 러·일 양국은 상트페테르부루크 조약을 맺습니다. 이 조약에 따르면 일본은 사할린섬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대신 기다란 쿠릴열도 전체를 손에 넣습니다. 1905년 일본의 우리 국권 강탈이 본격화된 계기가 된 러·일 전쟁이 종료된 뒤에는 남(南)사할린까지 손에 넣습니다. 소위 북방영토에 대한 일본의 완전한 점유는 2차 세계대전까지 이어집니다.
문제는 2차대전이 끝난 뒤 불거집니다. 소련은 일본의 패망 직후인 1945년 9월 쿠릴 열도 전체를 점령합니다. 1951년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 일본이 쿠릴 열도 전체의 영유권을 포기한다는 내용이 담겼지만, 분쟁의 불씨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1956년 소·일 공동선언에서 소련은 네 개의 섬 중 남쪽 두 개 섬인 하보마이와 시코탄을 일본에 반환하기로 합의했지만 결국 미·일 안보조약을 문제삼으며 이를 무산시킵니다.
남쿠릴열도(북방영토)는 독도나 센카쿠열도 등 일본의 다른 영토 분쟁지역과 달리 현재까지도 실제 양국이 반환을 두고 협상을 진행하는 지역입니다. 2018년 아베 신조 당시 일본 총리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담하고 4개 중 2개의 우선 반환을 타진합니다. 현재까지 이 논의는 지속되고 있는데 러시아는 일본에 쿠릴 열도 부근의 주일미군 배치를 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양국 정상이 관련 논의를 계속하던 것과 달리 지난해에는 러시아의 일대 해역 지질조사, 지대공 미사일 훈련 등에 나섰고, 일본은 해당 지역에서 태어난 러시아인들을 일본 국적자로 간주한다고 밝히는 등 다시 양국이 거칠게 부딪히고 있습니다. “러시아가 일본 영토를 빼앗은 것”이라는 강 대사의 발언은 이 와중에 나왔습니다.
외교가에서는 강 대사의 발언에 우려가 나왔습니다. 한국 국회에서 “러시아가 일본 땅을 빼앗은 것이 역사적 팩트”라고 소리치는 주일대사의 돌발 발언에 한국과 상관없는 러·일 영토분쟁에 한국이 일본 편이라는 인식이 심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불필요한 논란 거리를 만들기엔 한·일 양국 사이의 문제는 이미 너무 산적해 있습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