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내달 금리 추가 인상 시사…"필요하면 시장 안정 도모"(종합)
입력
수정
"성장률, 잠재 수준 웃도는 견실한 흐름"…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선 그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내년 국내 경제가 견실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고 물가 오름세는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 연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말하면서 "이번에는 동결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 등을 짚어보고, 경기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 회의(11월)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75%인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다.
이 총재는 이번 회의에서 "임지원, 서영경 위원은 0.25%포인트(p) 인상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공개하면서, "앞으로 통화정책은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방향으로 운용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또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실물경제 상황에 대비한 통화정책의 실질적 완화 정도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면서 "실질 기준금리, 금융상황지수 등 지표로 본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 차례 금리 인상만으로 정책 효과 가시화는 어려울 것이라 본다"면서 "금융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건전성 정책이나 주택 정책 등도 일관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2018년 11월(1.50→1.75%) 이후 2년 9개월(33개월) 만에 처음으로 인상했다. 시장에서는 연속 금리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최근 나타나는 물가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불균형 문제로 인해 결국에는 금통위가 내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국내 소비자물가가 덩달아 오르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수개월째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를 상회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라고 답했다. 그는 "유가를 비롯해 에너지 가격이 지속되거나 더 높아진다면 유가가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8월에 본(전망한) 수치를 상회할 거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불황 속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한국의)성장률이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견실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면서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원자재 가격이 높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생산 차질 등 요인으로 공급적 요인이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지만, 이런 현상들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수요가 빠르게 회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며 "일반적인 스태그플레이션과 다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원화가 약세 흐름을 지속하는 상황에 대해선 필요한 경우 개입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 총재는 "원/달러 환율은 주요국 통화보다 다소 빠르게 상승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확대되고 국내 수급 요인이 가세한 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정책의 변동 가능성이 예상되고 중국의 신용 리스크,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필요할 경우 시장 안정을 도모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난 5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은의 소비자심리지수상 주택가격전망 지표 등을 근거로 "최근 부동산의 가파른 오름세가 일단은 꺾였다고 판단한다"고 말한 것과 관련, "장기적으로 안정될지 여부는 좀 더 지켜보는 게 낫지 않을까 싶다"라고 답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12일 "내년 국내 경제가 견실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고 물가 오름세는 예상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직후 연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말하면서 "이번에는 동결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 등을 짚어보고, 경기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 회의(11월)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한은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현재 연 0.75%인 기준금리를 동결하기로 했다.
이 총재는 이번 회의에서 "임지원, 서영경 위원은 0.25%포인트(p) 인상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냈다"고 공개하면서, "앞으로 통화정책은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하는 방향으로 운용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또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실물경제 상황에 대비한 통화정책의 실질적 완화 정도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다"면서 "실질 기준금리, 금융상황지수 등 지표로 본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인 수준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 차례 금리 인상만으로 정책 효과 가시화는 어려울 것이라 본다"면서 "금융불균형에 영향을 미치는 거시건전성 정책이나 주택 정책 등도 일관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8월 한은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올려, 2018년 11월(1.50→1.75%) 이후 2년 9개월(33개월) 만에 처음으로 인상했다. 시장에서는 연속 금리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지만, 최근 나타나는 물가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불균형 문제로 인해 결국에는 금통위가 내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유가 상승으로 국내 소비자물가가 덩달아 오르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도 기준금리 인상이 필요하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수개월째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를 상회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은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 중 하나"라고 답했다. 그는 "유가를 비롯해 에너지 가격이 지속되거나 더 높아진다면 유가가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8월에 본(전망한) 수치를 상회할 거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불황 속 물가가 상승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서는 "(한국의)성장률이 잠재 수준을 상회하는 견실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면서 선을 그었다.
이 총재는 "원자재 가격이 높은 상승세를 유지하고 생산 차질 등 요인으로 공급적 요인이 경기 회복세를 제약하고 있지만, 이런 현상들은 코로나19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수요가 빠르게 회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며 "일반적인 스태그플레이션과 다르다고 본다"고 말했다.
원화가 약세 흐름을 지속하는 상황에 대해선 필요한 경우 개입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
이 총재는 "원/달러 환율은 주요국 통화보다 다소 빠르게 상승했다.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확대되고 국내 수급 요인이 가세한 데서 기인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를 비롯한 주요국 통화정책의 변동 가능성이 예상되고 중국의 신용 리스크, 에너지 가격 상승 등으로 대외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주의 깊게 지켜보면서 필요할 경우 시장 안정을 도모할 계획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지난 5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한은의 소비자심리지수상 주택가격전망 지표 등을 근거로 "최근 부동산의 가파른 오름세가 일단은 꺾였다고 판단한다"고 말한 것과 관련, "장기적으로 안정될지 여부는 좀 더 지켜보는 게 낫지 않을까 싶다"라고 답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