짝퉁 가방 브랜드 톱3은 루이뷔통·샤넬·구찌…중국산이 98%(종합)
입력
수정
올들어 8월까지 명품가방 수입액 3천539억원…"코로나 보복 소비" 국내에서 적발된 짝퉁 명품가방은 루이뷔통 모조품이 가장 흔하고 이어 샤넬, 구찌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관세청의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4년여간 짝퉁 가방 적발 건수는 1천866건, 합계 금액은 4천679억원이었다.
적발액을 브랜드별로 보면 루이뷔통 모조품이 1천48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샤넬(701억원), 구찌(295억원), 에르메스(293억원), 프라다(210억원) 순이었다.
루이뷔통은 2017년 이후 줄곧 짝퉁 가방 적발 금액이 가장 많았다. 구찌와 에르메스는 2017년에는 적발액이 각각 15억원과 8억원에 그쳤으나 작년에는 각각 7배, 15배로 늘어났다.
4년여간 적발된 짝퉁 가방 가운데 97.8%는 중국산이었다.
그다음은 홍콩(1.8%), 일본(0.1%), 기타(0.3%) 순이다. 연도별 적발액은 2017년 664억원, 2018년 420억원, 2019년 2천659억원, 2020년 854억원, 올해(1∼8월) 82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명품가방은 코로나19로 소비가 위축된 가운데서도 오히려 인기가 높아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정식으로 수입된 명품가방 3천539억원어치에 이른다. 2019년 1∼8월 수입액(1천775억원)의 2배 가까이 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2천403억원)보다도 67.9% 많다.
명품가방 수입액은 2017년(1천888억원), 2018년(2천221억원), 2019년(2천958억원)으로 증가하는 추세였는데 2020년(3천935억원)부터는 증가폭이 더 커졌다.
정 의원은 "코로나19 시대 억눌린 소비 욕구가 명품 보복 소비로 나타난 것"이라며 "올해 명품가방 수입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다만 여행자가 국내로 반입한 명품가방은 2017년(243억원), 2018년(359억원), 2019년(422억원)으로 증가하다가 2020년(80억원), 올해 1∼8월(26억원)에는 줄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여행 제약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적발액을 브랜드별로 보면 루이뷔통 모조품이 1천484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샤넬(701억원), 구찌(295억원), 에르메스(293억원), 프라다(210억원) 순이었다.
루이뷔통은 2017년 이후 줄곧 짝퉁 가방 적발 금액이 가장 많았다. 구찌와 에르메스는 2017년에는 적발액이 각각 15억원과 8억원에 그쳤으나 작년에는 각각 7배, 15배로 늘어났다.
4년여간 적발된 짝퉁 가방 가운데 97.8%는 중국산이었다.
그다음은 홍콩(1.8%), 일본(0.1%), 기타(0.3%) 순이다. 연도별 적발액은 2017년 664억원, 2018년 420억원, 2019년 2천659억원, 2020년 854억원, 올해(1∼8월) 82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명품가방은 코로나19로 소비가 위축된 가운데서도 오히려 인기가 높아졌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관세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정식으로 수입된 명품가방 3천539억원어치에 이른다. 2019년 1∼8월 수입액(1천775억원)의 2배 가까이 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2천403억원)보다도 67.9% 많다.
명품가방 수입액은 2017년(1천888억원), 2018년(2천221억원), 2019년(2천958억원)으로 증가하는 추세였는데 2020년(3천935억원)부터는 증가폭이 더 커졌다.
정 의원은 "코로나19 시대 억눌린 소비 욕구가 명품 보복 소비로 나타난 것"이라며 "올해 명품가방 수입액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다만 여행자가 국내로 반입한 명품가방은 2017년(243억원), 2018년(359억원), 2019년(422억원)으로 증가하다가 2020년(80억원), 올해 1∼8월(26억원)에는 줄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해외여행 제약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