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경기흐름 예상대로 좋으면 내달 금리인상 고려"
입력
수정
지면A8
기준금리 年 0.75%로 동결한국은행이 12일 연 0.75%인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증시가 출렁이는 등 불안한 금융시장 여건을 감안해 지난 8월 0.25%포인트 인상한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시장 안팎에선 다음달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시사
물가상승률 수개월째 2% 상회
유가 등 대내외 변화 계속 주시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
집값 안정세, 좀 더 지켜봐야
이주열 한은 총재도 “경기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다음달) 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경기 불안 고려해 금리 동결
한은은 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 총재는 “세계 경제가 회복되고 있지만 중국의 성장세 둔화와 전력난,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 등 우려 요인도 있다”고 기준금리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한은은 지난해 3월 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연 1.25%이던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렸다. 같은 해 5월엔 사상 최저인 연 0.50%로 추가 인하했다. 올 들어 인플레이션 위협과 가계부채 대응 필요성 등이 대두하면서 1년3개월 만인 지난 8월 기준금리를 연 0.75%로 인상했다.
당시 한은은 “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현재 금리 수준은 여전히 완화적”이라고 밝혀 이달 금통위에서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시장 충격 등을 감안해 이번에는 동결을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이 하반기 들어 지속적으로 금융 불균형 해소를 위한 금리 정상화를 강조해온 만큼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는 관측이다.
“물가 오름세 예상보다 확대”
이 총재도 이날 온라인으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번에는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 등을 짚어보고, 경기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 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이 총재는 금리 조정 여부는 경기와 물가, 금융 안정 상황 등을 봐야 한다고 설명하면서 물가상승률이 높은 점을 비중 있게 언급했다. 그는 “수개월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웃돌고 있다”며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상에서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라고 밝혔다. 특히 국제 유가가 배럴당 80달러까지 치솟은 것과 관련해 “유가는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도 했다.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가 동시에 나타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했다. 이 총재는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을 웃도는 견실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며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이 일부 경기 회복을 제약하고 있지만 이는 코로나19 이후 수요가 빠르게 회복되면서 나타난 것으로 일반적인 스태그플레이션과 다르다고 본다”고 말했다.2명의 금통위원이 기준금리 인상 의견을 낸 것도 다음달 금리 인상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이날 금통위 회의에서 임지원·서영경 위원은 0.25%포인트 인상이 바람직하다는 소수 의견을 냈다.
주택시장 안정? “좀 더 지켜봐야”
이 총재는 8월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에 관해서는 “실물경제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그는 “경제성장세와 물가 오름세 확대를 고려하면 실물경제 대비 통화정책의 실질적 완화 정도는 오히려 확대되는 상황”이라며 “실질 기준금리와 금융 상황 관련 지수 등으로 평가한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 수준”이라고 설명했다.금리 인상에도 가계부채 증가세와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는 것에 대해서는 “금융 불균형이 상당 기간 누적돼 한 차례 금리 인상으로 바로 정책효과가 가시화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기준금리 상승 영향으로 차입에 의한 수익 추구 성향은 줄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한은의 소비자동향조사를 근거로 주택가격이 안정화되고 있다고 분석한 것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는 “주택시장이 장기적으로 안정될지는 좀 더 지켜보는 게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밝혔다. 주택가격은 주택시장 기대심리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이유에서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