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처럼 안 잡히는 가계부채…한 달 만에 6조5000억 늘었다
입력
수정
정부가 가계부채를 틀어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속도는 꺾이지 않고 있다. 지난달에만 6조5000억원이 증가하는 등 예년 대비 큰 폭 불었다. 경제학계는 폭증한 가계부채가 금융위기로 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1년 9월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말 은행 가계대출은 1052조7000억원으로 전달보다 6조5000억원 불었다. 가계대출 증가폭은 8월(6조1000억원)보다 4000억원가량 늘었다. 지난달 증가폭은 역대 9월 기준으로 작년 9월(9조6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지난달 7조8000억원 늘었다. 8월(8조6000억원)보다 8000억원 줄어드는 데 그쳤다.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의 고삐를 죄면서 시중 은행의 대출 중단 사태도 속출하고 있다. 하지만 가계대출의 증가 속도가 큰 폭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은행 가계대출을 세부적으로 보면 가계대출 중 가장 비중이 큰 주택담보대출은 지난달 말 769조8000억원으로 5조7000억원 늘었다. 8월 증가폭(5조8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주택 매매와 전세자금 수요가 이어지면서 증가세가 이어졌다.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은 281조9000억원으로 8000억원 증가했다. 8월 증가폭(3000억원)을 넘어섰다.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놓고 경제학자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한국경제학회가 경제학자 2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자 전원이 현재 가계부채 비율과 규모가 높은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우헌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이라며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부채가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가계부채가 불어난 배경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자의 89%가 '주택담보대출 등 주거비 자금 수요에서 비롯했다'고 응답했다. 치솟는 집값을 마련하기 위해 가계가 상당한 차입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뜻이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부동산 정책 실패가 가계부채 확대의 배경이 됐다"며 "'내집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체념한 젊은 세대들이 비생산적이고 투기적 행위를 위해 대출을 늘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가계부채 문제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묻자 조사 대상자의 61%가 '부동산시장안정에 나서야 한다'고 답했다. '금리정책 및 유동성 관리'(18%) '지속적 경제성장'(11%) '적절한 금융감독'(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1년 9월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지난달 말 은행 가계대출은 1052조7000억원으로 전달보다 6조5000억원 불었다. 가계대출 증가폭은 8월(6조1000억원)보다 4000억원가량 늘었다. 지난달 증가폭은 역대 9월 기준으로 작년 9월(9조6000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의 '가계대출 동향'을 보면 은행과 제2금융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지난달 7조8000억원 늘었다. 8월(8조6000억원)보다 8000억원 줄어드는 데 그쳤다.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의 고삐를 죄면서 시중 은행의 대출 중단 사태도 속출하고 있다. 하지만 가계대출의 증가 속도가 큰 폭으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평가가 나온다.
은행 가계대출을 세부적으로 보면 가계대출 중 가장 비중이 큰 주택담보대출은 지난달 말 769조8000억원으로 5조7000억원 늘었다. 8월 증가폭(5조8000억원)과 비슷한 수준이다. 주택 매매와 전세자금 수요가 이어지면서 증가세가 이어졌다. 신용대출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타대출은 281조9000억원으로 8000억원 증가했다. 8월 증가폭(3000억원)을 넘어섰다.
불어나는 가계부채를 놓고 경제학자들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한국경제학회가 경제학자 2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보면 응답자 전원이 현재 가계부채 비율과 규모가 높은 수준이라고 답했다. 이우헌 경희대 경제학과 교수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이라며 "부정적 충격이 발생하면 가계부채가 금융위기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가계부채가 불어난 배경에 대해서는 조사 대상자의 89%가 '주택담보대출 등 주거비 자금 수요에서 비롯했다'고 응답했다. 치솟는 집값을 마련하기 위해 가계가 상당한 차입금을 조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뜻이다. 이인호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부동산 정책 실패가 가계부채 확대의 배경이 됐다"며 "'내집 마련'이 불가능하다고 체념한 젊은 세대들이 비생산적이고 투기적 행위를 위해 대출을 늘리고 있다"고 평가했다.
가계부채 문제를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묻자 조사 대상자의 61%가 '부동산시장안정에 나서야 한다'고 답했다. '금리정책 및 유동성 관리'(18%) '지속적 경제성장'(11%) '적절한 금융감독'(4%)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