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출근길에 탄 친환경 '전기버스' 알고보니 중국산이라고?
입력
수정
서울시 전기버스, 지난해 5대 중 1대 꼴 '중국산'국내 도로를 달리는 중국산 전기버스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이 전기차 수출을 크게 늘리면서 한국 버스 시장에도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평가다.
올해는 3대 중 1대…부품 기준으론 3대 중 2대
18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시에 도입되는 전기버스 3대 중 1대는 중국산이다. 서울시와 서울버스운송사업조합이 실시한 2021년도 서울시내 전기버스 도입 입찰 물량 352대 가운데 33.2%에 달하는 117대가 중국 브랜드인 것으로 알려졌다. 브랜드별로 하이거 79대, 한차 14대, 비야디(BYD) 13대, 범한자동차 11대 등이다.중국산 전기버스 도입 비중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313대의 전기버스를 도입했는데, 그중 22.3%에 해당하는 70대가 중국산 전기버스였다. 브랜드별로 하이거 50대, BYD 18대, 범한자동차 2대 등이다. 서울에서 지난해 새로 도입된 전기버스를 탔다면 5대 가운데 1대 꼴로 중국산 차량을 탄 셈이다. 올해는 도입 물량이 전년보다 67.1% 늘어나면서 3대 중 1대 꼴로 늘었다.전국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산 버스는 더욱 늘어난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에서 판매된 전기버스는 지난해 보급사업의 출고지연 물량을 포함해 363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40.7%에 해당하는 148대는 중국산 전기버스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중국산 전기버스 비중이 34%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중국산 전기버스의 공세가 한층 강해진 것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중국산이 국내 시장을 공략하는 가장 큰 무기는 가격이다. 하이거 등 중국 전기버스들은 가격이 대당 4억원 안팎으로 국산 동급 모델에 비해 1억원 가량 저렴하기 때문이다.국내 업체도 중국산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올해 서울시내 전기버스 물량을 가장 많이 확보한 국내 업체의 경우 핵심 부품인 차체와 배터리, 모터를 중국에서 들여오는 방식으로 '국산 전기버스'를 만든다. 부품 국적과 상관없이 차량을 한국에서 제조했기에 완성차는 국산이라는 논리다.
부분조립생산(SKD) 방식으로 해외에서 조립을 마치지 않은 차량을 들여와 국내에서 완성차로 만들고 국적(차대번호)을 취득하는 방법에 법적인 하자는 없다. 다만 주요 부품을 기준으로 따진다면 올해 서울시에 도입되는 중국산 전기버스 비중은 3대 중 1대에서 3대 중 2대로 크게 높아진다. 국내 시장의 절반 이상이 중국 자동차 업계의 영향 아래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 부분이다.업계에서는 중국 자동차 업계의 국내 시장 공략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자의 브랜드 평가가 중요한 승용 시장에서는 중국산 자동차가 영향력을 발휘하기 힘들지만, 브랜드 중요성이 낮은 상용차 시장에서는 가격을 무기로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는 평가다.한국자동차연구원은 "중국 완성차 브랜드는 선진국 시장에서 중요시하는 브랜드 헤리티지가 부족하며, 중국산 완성차의 품질·안전성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도 만연하다"며 "이에 중국은 브랜드 중요성이 낮은 시장과 차종을 중심으로 수출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중국 업계는 트럭, 버스, 밴 등 구매 의사결정에 경제성이 중요한 상용차 및 준 상용차를 적극 수출한다. BYD는 글로벌 전기버스 브랜드로 자리 잡았을 정도"라며 "장기적으로 물류·여객 서비스 사업자들이 중국 완성차 기업에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제조자개발생산(ODM) 등 위탁생산 주문을 늘려 중국차의 수출 증대에 상당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