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의사, 스우파 댄서들 춤 보자마자 화들짝 놀란 이유
입력
수정

'척추박사 닥터강'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유튜버는 최근 '정형외과 의사의 시점으로 본 스우파'라는 제목의 영상을 게재했다.해당 영상에서 닥터 강은 원트의 엠마, 모아나와 YGX 여진, 지효의 계급 미션 배틀을 보며 "이러다가 무릎 다 나간다. 바닥에 무릎을 깔고 있지 않느냐. 무릎 보호대라도 좀 하고 하지"라며 걱정했다.
이어 "춤을 추다가 무릎이 안쪽으로 확 무너진다. 이렇게 하면 전방십자인대가 나간다. 이 사람들이 신고 있는 신발이 발목을 잘 안 잡아주고, 미끄러우면 무릎이 확 돈다. 전방십자인대가 다치는 여러 가지 메커니즘이 있는데 그 중에 발목이 땅바닥에 닿고 비틀어지는 손상이 일어나면 100% 찢어진다"고설명했다.
닥터 강은 "처음에는 인대가 살짝 찢어지는데 그땐 기능을 한다. 그러다 조금씩 더 찢어져서 50%가 넘어가는 순간 그때부터는 부분파열이 아니라 완전파열이 된다. 다쳐서 아픈데 그냥 또 춤을 추다 보면 전방십자인대가 끊어진다. 그럼 수술해야 한다"고 전했다.

이어 리안을 향해 "이 사람은 관절의 운동범위가 굉장히 넓다"며 "관절은 움직이는 범위도 있어야 하고, 거기에 더해 안정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안정성은 어떤지 잘 모르겠는데 가동성은 무지하게 좋다. 그 가동성 안에서 잘 움직이게끔 훈련을 했으면 부상을 안 당하겠지만 훈련이 안 된 사람이라면 위험한 동작이다"고 했다.
닥터 강은 "젊을 때는 이렇게 춤을 춰도 상관 없는데 40-50대에 이렇게 하면 반월상연골이 찢어질 거다"면서 "관절은 저렇게 쿵쿵 찧고 틀어대면 잘 다친다. 내 외래에도 스트릿 댄스 추는 사람들이 몇 번 왔는데 손목 다 다치고 여기(팔꿈치) 맨날 아프다고 했다. 20대라고 연골이 안 다치는 게 아니다"고 주의를 줬다. 끝으로 그는 "콜라겐이 그물처럼 돼 있지 않느냐. 그 안에 물을 가두고 있는데 그 물을 가두고 있는 능력이 점점 떨어진다. 예전에는 폭신하던 관절이 비틀어대고 하면 결국 다치는 거다. 이것도 한계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수영 한경닷컴 기자 swimmin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