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소부장 기술자문단, 日 수출규제에 대응…소부장 中企·중견기업 '맞춤형 지원'
입력
수정
지면C7
2019년 일본 정부의 한국 기업 대상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수출 규제는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국산화를 일깨운 계기가 됐다. 반도체 생산의 필수 소재인 불화수소를 비롯해 핵심 소재 공급이 크게 줄면서 국내 산업계가 일대 혼돈에 빠졌기 때문이다. KAIST는 일본의 수출 규제로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 산업이 빠르게 정상화되는 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KAIST 소부장 기술자문단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자문단은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선제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 최초로 출범한 단체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소부장 분야 81개 중소·중견기업의 현장 애로사항에 대해 신속한 기업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자문단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국가연구인프라(3N)의 국가연구협의체로 지정됐다. 국가연구인프라는 국가연구실, 국가연구시설, 국가연구협의체를 의미한다.
KAIST는 국가협의체를 통해 중소기업 소부장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26개 품목, 그중에서도 공급망 진입 장벽이 높은 반도체 장비, 양자점 소재를 집중 지원 품목으로 선정했다. 기업에서 기술 애로가 발생하면 기술자문을 통해 ‘문제 해결 지점’을 찾아주고, 자체 보유 기술특허를 기반으로 이에 걸맞은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자문단은 첨단소재, 화학·생물, 화공·장비, 전자·컴퓨터, 기계·항공분과 등 5개 기술 분과로 구성됐다. 기술자문단 출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대중소기업상생협의회 등에서 활동하는 최성율 단장을 중심으로 전문성과 풍부한 자문 경험을 보유한 155명의 자문위원을 보유하고 있다.자문단은 그동안 81개 기업에 대해 누적 기준 107회의 자문을 했다. 소부장 관련 전시박람회 참가 및 정책부스 운영을 통해 기업 수요를 발굴하고 자문단 국가연구인프라 사업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제고에도 집중하고 있다.
자문단은 소부장 산업의 지식재산권(IP) 강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국내 기업은 글로벌 기업들이 보유한 IP 장벽이 높아 분쟁 리스크의 부담이 크고 전략적 대응도 쉽지 않다. 자문단은 이런 기업들을 위한 기술교류를 통해 기술 고도화 및 중장기 혁신기술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소부장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 지식 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KAIST 교수진의 신기술 및 지식재산권 온·오프라인 강좌 시리즈를 기획 중이다. 최 단장은 “KAIST만의 강점을 살린 IP 지원 특화 국가협의체 활동을 통해 소부장 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와 자립화에 기여하는 든든한 자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유관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상승작용(시너지)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최 단장은 “궁극적으로 소부장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이들 산업체에 대한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
KAIST 소부장 기술자문단이 대표적인 사례다. 이 자문단은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대한 선제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민간 최초로 출범한 단체다. 일본 수출 규제 조치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소부장 분야 81개 중소·중견기업의 현장 애로사항에 대해 신속한 기업 맞춤형 자문을 제공하고 있다. 자문단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국가연구인프라(3N)의 국가연구협의체로 지정됐다. 국가연구인프라는 국가연구실, 국가연구시설, 국가연구협의체를 의미한다.
KAIST는 국가협의체를 통해 중소기업 소부장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26개 품목, 그중에서도 공급망 진입 장벽이 높은 반도체 장비, 양자점 소재를 집중 지원 품목으로 선정했다. 기업에서 기술 애로가 발생하면 기술자문을 통해 ‘문제 해결 지점’을 찾아주고, 자체 보유 기술특허를 기반으로 이에 걸맞은 해결책을 제시해주고 있다.자문단은 첨단소재, 화학·생물, 화공·장비, 전자·컴퓨터, 기계·항공분과 등 5개 기술 분과로 구성됐다. 기술자문단 출범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대중소기업상생협의회 등에서 활동하는 최성율 단장을 중심으로 전문성과 풍부한 자문 경험을 보유한 155명의 자문위원을 보유하고 있다.자문단은 그동안 81개 기업에 대해 누적 기준 107회의 자문을 했다. 소부장 관련 전시박람회 참가 및 정책부스 운영을 통해 기업 수요를 발굴하고 자문단 국가연구인프라 사업에 대한 대국민 인지도 제고에도 집중하고 있다.
자문단은 소부장 산업의 지식재산권(IP) 강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국내 기업은 글로벌 기업들이 보유한 IP 장벽이 높아 분쟁 리스크의 부담이 크고 전략적 대응도 쉽지 않다. 자문단은 이런 기업들을 위한 기술교류를 통해 기술 고도화 및 중장기 혁신기술 확보를 지원할 예정이다. 또 소부장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교육 콘텐츠를 제공해 지식 교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KAIST 교수진의 신기술 및 지식재산권 온·오프라인 강좌 시리즈를 기획 중이다. 최 단장은 “KAIST만의 강점을 살린 IP 지원 특화 국가협의체 활동을 통해 소부장 기업의 기술 경쟁력 제고와 자립화에 기여하는 든든한 자문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유관 부서와의 협업을 통해 상승작용(시너지)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최 단장은 “궁극적으로 소부장 협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이들 산업체에 대한 지속 가능한 지원체계가 뿌리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민경진 기자 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