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학력이 교사·친구와의 관계에도 영향"

기초학력 성취 수준이 교사·친구와의 관계 등 학교생활과도 연관돼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교육당국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 미달 여부에 따른 교육 경험과 성장의 차이’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이 담겼다. 이 보고서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집단을 고등학교 1학년까지 추적한 것을 바탕으로 한 연구다.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수준 기초 미달 여부에 따른 교육 경험과 성장의 차이를 종단적으로 분석했다. 초등학교 5학년 혹은 6학년 시기에 ‘한국교육종단연구’가 개발한 기초능력검사지에서 국어, 영어, 수학 중 한 과목이라도 기초 미달이었던 학생은 ‘기초 미달’로 분류했으며, 이외의 학생들은 ‘기초 이상’으로 분류했다.
한국교육개발원 제공.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교사와의 관계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 수준 기초 이상 학생들은 교사와의 관계를 기초 미달 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보고했다. 학업성취 수준 기초 미달인 학생은 2015년 3.64점(5점 척도)에서 2019년 3.70점으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높아지긴 했으나, 기초 이상인 학생보다 0.06~0.17점 낮았다. 기초 미달 학생들은 기초 이상 학생들에 비해 친구와의 관계도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으로 인식했다.
한국교육개발원 제공.
가정에서의 지원도 차이가 났다. 기초 미달 학생의 학부모는 기초 이상의 학생에 비해 자녀에 대한 학업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의 수준이 일관되게 낮았다. ‘자녀를 격려한다’ ‘자녀를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등의 질문으로 측정한 부모의 정서적 지원 조사에서 기초 미달인 학생은 2015년 3.93점에서 2019년 3.91점으로, 기초 이상인 학생보다 0.09점~0.13점 낮게 나타났다.

기초학력은 학생들의 공동체 의식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나보다는 타인을 먼저 배려한다’ ‘버스나 지하철에서 노약자나 장애인이 타면 자리를 양보한다’ 등의 문항으로 측정한 타인 배려 정도에서 기초 이상인 학생이 미달인 학생보다 일관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보고서는 “중·고교 시기를 거치면서 초등학교 시기 학업성취 수준이 기초 미달이었던 학생들과 기초 이상이었던 학생들의 가정에서의 교육 경험과 지원, 학교 내 교육 경험 등의 특성이 일관되게 차이가 있었다”며 “이러한 차이는 장기적으로 유지될 개연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차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원 인력을 교원수급계획에 반영하고, 학교에는 기초학력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정부·교육청·학교의 역할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남영 기자 n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