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DMZ 협력방안은…질병 대응·관광 등 제안 쏟아져

통일부, 강원 양구서 '2021 DMZ 평화협력 국제포럼' 개최
남북이 비무장지대(DMZ)에서 협력할 방안을 찾기 위해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다. 최용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통일부가 28일 강원도 양구 KCP 호텔에서 개최한 '2021 DMZ 평화협력 국제포럼'에서 "북한의 보건의료체계가 파괴되면서 다양한 감염병이 발생하고 있다"며 "특히 기후변화는 식생의 변화를 일으켜 각종 감염병으로 이어져 접경지역에서 관련 문제들이 나타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말라리아·아프리카돼지열병(ASF)·조류독감 등이 남북 공동 대응이 필요한 질병들이라며 "남북 주민의 공존을 위해 접경지역 중심으로 초국경 질병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후변화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공유하천 문제도 협력이 필요하다"면서 "남북한 경계에는 크게 북한강과 임진강 물줄기가 있는데 특히 하류에 위치한 남측 입장에서 더욱 긴요한 협력"이라고 말했다. 최은주 세종연구소 연구위원은 북한이 지난 7월 유엔 고위급 정치포럼에서 공개한 보고서를 근거로 북한이 농업과 보건 분야에서 과학·현대화 작업 및 인력 개발의 수요가 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DMZ에 농업과 보건·의료를 비롯해 환경, 생태, 에너지 분야의 기초연구와 기술협력을 위한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면서 "거기서 전문가를 양성하고 기술 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 협력을 남북 간 추진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최 연구위원은 또 "(DMZ의) 생태·환경, 역사, 문화적 특성을 반영해 관광협력을 추진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영성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는 "DMZ를 개성공단과 평화통일경제특구와 묶어 세계적인 'RE100(재생에너지 100%) 벨트'로 조성하자"는 제안을 내놓았다.

그러나 DMZ에서의 남북 협력이 가능해지려면 북한의 호응이 필수다.

최용환 책임연구위원은 "지금까지 북한은 남측의 DMZ 협력구상은 분단을 고착화시킨다고 여기고 자신들이 단기적으로 얻을 게 분명한 사업을 원했다"며 "DMZ에 대한 남북의 다른 관점을 어떻게 조율할지 중장기적인 고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