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민 행복지수 100점 만점에 69점, '코로나19 스트레스' 가장 큰 고민
입력
수정
경기도가 지난 7월 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항목별 행복지수 여론조사 결과, 100점 만점에 69점인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 제공
올해 경기도민의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69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7월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기관인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스스로 느끼는 행복 수준을 측정한 결과, 평균 69점(가장 불행 0점, 가장 행복 10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발표했다.
행복지수는 육체적 건강, 가족 관계 등 12개 항목 점수의 평균치인 ‘차원종합 행복지수’와 종합적인 행복 수준을 물은 ‘전반적 행복지수’ 간 평균점수다.
연도별 행복지수는 2015년 67점, 2017년 68점, 2019년 67점, 2020년 69점이다. 행복지수 조사는 2년 주기이나 2020년 초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2020년 특별조사를 실시했다.
올해 경기도민 행복지수를 12개 항목별로 보면 가족관계(76점) 행복 수준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정신적 건강(71점) ▲친구․이웃관계(71점) ▲주거환경(71점) ▲육체적 건강(70점) 순이었다. 반면 안전(58점)과 업무‧학업(62점)은 비교적 낮았다.항목별 행복지수 추이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생활로 ‘휴식․여가’ 행복지수가 지난 2015년 61점에서 올해 64점으로 3점이 상향됐다. 또 ‘일과 가정생활 조화’ 행복지수도 지난 2019년 66점에서 올해 69점으로 상향됐다.
하지만 ‘안전’은 지난해 63점에서 2021년 58점으로 5점이나 대폭 하향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행복지수는 20대(72점)와 40대(70점)에서 높았으며 60대는 63점으로 가장 낮았다. 70세 이상은 2019년 60점에서 2021년 67점으로 오름세를 보였다.월 가구소득별로 행복지수도 차이를 보였다. 100만원 미만 54점, 800만원 이상 75점 등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지수도 높았다. 다만 7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연도별 행복지수가 큰 변동이 없던 반면 100만원 미만(2019년 48점, 2020년 57점, 2021년 54점), 100만원대(2019년 58점, 2020년 63점, 2021년 62점) 등 저소득층은 행복지수가 2년 전에 비해 올라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상황 속에서 1인 가구 행복지수는 2019년 59점에서 64점으로, 미혼자의 행복지수는 2019년 66점에서 2021년 70점으로 2년 전에 비해 상승했다.
도움이 필요할 경우 부탁할 수 있는 친구․이웃이 ‘있다’고 답한 도민들의 행복지수는 73점인 반면, ‘없다’고 답한 경우 행복지수는 60점에 불과했다. 공동체적인 상황은 행복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도민들은 이와 함께 우리사회를 ‘신뢰할 수 있다’고 답한 계층의 행복지수(74점)가 ‘신뢰할 수 없다’는 계층(63점)에 비해 높았다. 우리사회에 대해 ‘공정하다’는 계층(76점)의 행복지수 역시 ‘그렇지 않다’는 계층(65점)에 비해 높았다.
현재 경기도민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28%)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 인식에 따른 행복지수는 ‘심각하다’는 계층은 68점, ‘심각하지 않다’는 72점이었다.다른 고민거리로는 ▲본인․가족 건강 문제(13%) ▲경제적 어려움(12%) ▲부동산 및 주거 문제(11%) ▲본인학업․진로․취업 문제(10%) 등의 순으로 지목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 26일, 27일, 29일 유․무선 RDD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
올해 경기도민의 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69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 스트레스’로 나타났다.
경기도는 지난 7월 만 18세 이상 경기도민 10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 기관인 (주)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스스로 느끼는 행복 수준을 측정한 결과, 평균 69점(가장 불행 0점, 가장 행복 100점)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발표했다.
행복지수는 육체적 건강, 가족 관계 등 12개 항목 점수의 평균치인 ‘차원종합 행복지수’와 종합적인 행복 수준을 물은 ‘전반적 행복지수’ 간 평균점수다.
연도별 행복지수는 2015년 67점, 2017년 68점, 2019년 67점, 2020년 69점이다. 행복지수 조사는 2년 주기이나 2020년 초 코로나19가 발생하면서 2020년 특별조사를 실시했다.
올해 경기도민 행복지수를 12개 항목별로 보면 가족관계(76점) 행복 수준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정신적 건강(71점) ▲친구․이웃관계(71점) ▲주거환경(71점) ▲육체적 건강(70점) 순이었다. 반면 안전(58점)과 업무‧학업(62점)은 비교적 낮았다.항목별 행복지수 추이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생활로 ‘휴식․여가’ 행복지수가 지난 2015년 61점에서 올해 64점으로 3점이 상향됐다. 또 ‘일과 가정생활 조화’ 행복지수도 지난 2019년 66점에서 올해 69점으로 상향됐다.
하지만 ‘안전’은 지난해 63점에서 2021년 58점으로 5점이나 대폭 하향됐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행복지수는 20대(72점)와 40대(70점)에서 높았으며 60대는 63점으로 가장 낮았다. 70세 이상은 2019년 60점에서 2021년 67점으로 오름세를 보였다.월 가구소득별로 행복지수도 차이를 보였다. 100만원 미만 54점, 800만원 이상 75점 등 소득이 증가할수록 행복지수도 높았다. 다만 700만원 이상 고소득 가구의 연도별 행복지수가 큰 변동이 없던 반면 100만원 미만(2019년 48점, 2020년 57점, 2021년 54점), 100만원대(2019년 58점, 2020년 63점, 2021년 62점) 등 저소득층은 행복지수가 2년 전에 비해 올라갔다.
사회적 거리두기 지속 상황 속에서 1인 가구 행복지수는 2019년 59점에서 64점으로, 미혼자의 행복지수는 2019년 66점에서 2021년 70점으로 2년 전에 비해 상승했다.
도움이 필요할 경우 부탁할 수 있는 친구․이웃이 ‘있다’고 답한 도민들의 행복지수는 73점인 반면, ‘없다’고 답한 경우 행복지수는 60점에 불과했다. 공동체적인 상황은 행복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도민들은 이와 함께 우리사회를 ‘신뢰할 수 있다’고 답한 계층의 행복지수(74점)가 ‘신뢰할 수 없다’는 계층(63점)에 비해 높았다. 우리사회에 대해 ‘공정하다’는 계층(76점)의 행복지수 역시 ‘그렇지 않다’는 계층(65점)에 비해 높았다.
현재 경기도민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는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28%)인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 인식에 따른 행복지수는 ‘심각하다’는 계층은 68점, ‘심각하지 않다’는 72점이었다.다른 고민거리로는 ▲본인․가족 건강 문제(13%) ▲경제적 어려움(12%) ▲부동산 및 주거 문제(11%) ▲본인학업․진로․취업 문제(10%) 등의 순으로 지목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경기도가 여론조사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7월 26일, 27일, 29일 유․무선 RDD를 활용한 전화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수원=윤상연 기자 syyoon11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