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사람을 대포로 쏴서 달에 보낸다는 상상이 로켓이 됐죠
입력
수정
지면S5
Cover Story - 'K우주시대' 희망 쏜 누리호쥘 베른(1828~1905)은 우주여행과 미래 과학기술을 테마로 글을 많이 쓴 소설가입니다. 그를 빼놓고 과학소설(SciFi)의 계보를 말할 수 없죠. 과학소설의 개척자였으니까요.
'우주시대' 예언한 과학소설
쥘 베른이 쓴 '지구에서 달까지'
1세기 앞서 인류의 달착륙 예측
우주적 상상력이 빚어낸 걸작
치올코프스키의 '로켓 이론'은
인공위성 기술을 낳은 디딤돌
그가 쓴 《지구에서 달까지》는 우주적 상상력과 작가적 역량이 빚어낸 기념비적 작품입니다. 소설은 사람을 대포로 쏘아서 달나라로 보내자는 사업을 둘러싸고 전개됩니다. 현재 시각에서 보면 멍청한 소리 같지만 당시엔 멋진 상상이었습니다. 지금과 다른 게 있다면 대포가 로켓으로 고급화됐다는 것뿐이죠. 지난달 21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누리호(KSLV-Ⅱ)는 ‘고급 대포’나 마찬가지죠. “쥘 베른은 우주적인 상상력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매우 드물고 아름다운 능력이다. 그는 시인이자 놀라운 예언자이며 능력 있는 창조자였음을 어느 누가 감히 부인할 것인가?” 아나톨 르브라즈라는 사람은 그를 이렇게 극찬했습니다. 쥘 베른의 생각이 미국의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보다 1세기나 앞서서 나왔다니, 놀라울 따름입니다.쥘 베른은 ‘대포 인간’ 외에 다른 상상도 소설에 펼쳐보였습니다. 잠수함, 입체영상, 해상도시, 텔레비전, 먼 우주 여행, 투명인간 개념들이었죠. 그의 소설은 《반지의 제왕》 같은 판타지가 아니었습니다. 과학소설은 물리와 과학의 법칙이 성립되는 세상을 경이로움과 버무립니다. 반면 판타지는 현실과 완전히 다른 시공간을 창조하고 물리 법칙이 전혀 적용되지 않는 이야기를 다룹니다. 쥘 베른은 미래에 등장할법한 것들을 철저한 자료조사를 통해 창조하고 묘사했습니다.
쥘 베른보다 한 세대 늦게 태어난 치올코프스키(Konstantin Eduardovich Tsiolkovskii: 1857~1935)라는 소련 과학자는 ‘쥘 베른의 대포’를 로켓으로 이론화했습니다. 그는 《로켓에 의한 우주공간의 탐구》 논문에서 가스를 분사해 로켓(발사체)을 쏘아올리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그의 이론에 따라 소련과 미국은 로켓과 인공위성 기술을 손에 쥘 수 있었습니다. 그는 “지구는 인류의 요람이지만, 사람은 언제까지나 요람에 머물 수는 없다”고 말했습니다. 인간이 지구 밖으로 날아갈 것임을 확신한 말입니다.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 1969년 미국의 아폴로 11호 달 착륙, 1977년 발사된 보이저호, 왕복우주비행선 챌린저호, 우주정거장 미르는 모두 현실이 됐습니다.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태블릿PC와 레이저, 인기를 끄는 전기차와 자율주행차도 1960년대 전후의 소설과 영화로 이미 등장했습니다.
우주 여행, 미래 세계는 로봇, 인공지능(AI)과 자연스럽게 만납니다. 로봇이 인간처럼 말을 하고 행동하고, 함께 사는 세계는 소설 《I, 로봇》에서 잘 그려졌습니다. 영화화도 됐죠. 이세돌과 알파고의 바둑 대결은 AI의 진화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를 알려주었습니다. 최근엔 호모 사피엔스가 멸종하더라도 AI가 인간종을 이어받아 영원히 우주 여행을 할 것이라는 상상도 나오고 있지요.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로봇과 AI가 인류와 함께 공존하기 위해 로봇이 지켜야 할 ‘세 가지 법칙’을 만든 과학소설가도 있답니다. 아이작 아시모프(1920~1992)는 인류와 로봇의 공진화를 위해선 (1) 로봇은 사람을 해치거나,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사람이 해를 입도록 해서는 안된다. (2) 로봇은 사람이 내린 명령들을 따라야 한다. 단 첫째 법칙을 어기지 않는 선에서. (3) 로봇은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 첫째와 둘째 법칙을 어기지 않는 한. 아시모프의 3법칙은 유럽연합(EU) 의회가 2017년 AI에 ‘법인격’을 부여해야 하는가를 논의할 때 기초로 삼았답니다.
과학소설을 읽고 싶다면, 그리고 그런 작가가 되고 싶다면, 유명 작가들을 만나보세요. 쥘 베른, 아시모프 외에 아서 클라크, 로버트 하인라인, 허버트 조지 웰스, 필립 K 딕, 커트 보네거트, 레이 브래드버리,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테드 창 같은 작가 말이죠. 스타트렉, 타임머신, 벌거벗은 태양, 스페이스 오딧세이, 바이센테니얼, 매트릭스, 터미네이터, 토탈 리콜, 가타카, 마션, 인터스텔라 등의 작품도 만나보세요.
우주와 미래를 그린 작품 중에는 어두운 면을 그린, 즉 디스토피아 세계를 걱정하는 작품도 많습니다. 기술이 가져올 윤리와 인간 문제를 다룹니다. 조지 오웰의 《1984》는 첨단기술이 인간을 통제하는 전체주의의 암울한 세계를 현실(소련)과 빗대어 그렸습니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는 자연임신 없이 계급적으로 나뉘어 인공배양되는 신세계 인간과 감정을 가진 구세계 인간의 대립을 그립니다. 1930년대에 나온 소설이지만 아직도 최고 걸작으로 칭송됩니다. 필독서죠. 인간의 기술이 신의 경지에 올라서서 인간이 신이 되려 할 때(호모 데우스) 지구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우리는 거대한 우주선을 타고 천체를 여행하게 될까요? 아니면 기술에 치여서 멸망할까요? 상상은 자유입니다.고기완 한경 경제교육연구소 연구위원
NIE 포인트
① 쥘 베른이 어떤 사람인지를 찾아보고 그가 소설에 그렸던 기술 중 현실화된 것을 조사해보자.② 과학소설과 판타지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각 부문의 대표작 3개를 꼽아보자.
③ 인공지능과 로봇이 결합된 초지능이 인류 문명에 등장할 경우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를 상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