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발끈한 윤석열 '식용 개' 발언…무슨 말 했나 보니
입력
수정
윤석열 토론서 "식용 개 따로 키우지 않나"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식용 개는 따로 키우지 않냐"고 발언해 논란이 빚어진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태어날 때부터 식용인 개는 없다"고 직격했다.
"법 제도화하려면 사회적 합의 필요"
이재명 "개를 식용과 비식용으로 구분하나"
이 후보는 지난 1일 밤 페이스북을 통해 "개 식용이 반려동물 학대가 아니라는 주장도 큰 문제이지만, 개를 식용과 비식용으로 구분하는 모습은 더 충격적"이라면서 이렇게 밝혔다.이 후보는 "죽기 위해 태어난 생명, 식용 개를 인정하는 것은 비극적인 일"이라며 "한 사람의 가치관, 세계관은 모든 사물과 현상을 대하는 관점, 인식, 태도에 그대로 투영되기 때문에 개를 식용과 비식용으로 구분하는 윤석열 후보의 인식과 태도가 다른 사회적 문제의 진단과 해법에도 그대로 투영될까 심히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그는 "태어날 때부터 수저 색깔이 결정되는 세상을 바꿔야 하는 것처럼, 죽기 위해 태어나는 생명, 식용 개를 용인하는 관점과 태도도 바꿔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국내 반려 인구가 1500만 명을 넘어섰다"며 "반려동물을 키우는 윤 후보의 발언에 상처받았을 국민들에게 윤 후보는 지금이라도 사과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앞서 윤 전 총장은 지난 10월 31일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자 마지막 종합토론회에서 유승민 전 의원의 개 식용 정책 관련 질문에 "개인적으로 반대하지만 국가 시책으로 하는 건 많은 분들의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하지 않냐"고 대답했다.
유 전 의원은 "어떤 토론회에서 '개를 식용으로 하는 건 선택의 문제라 함부로 말하기 곤란하다'고 했더라"라고 지적하자 윤 전 총장은 "개인적으로 반대지만 국가 시책으로 하는건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유 전 의원이 "반려인구 1500만 되는데 개 식용 문제에 민감하다"고 하자 "저도 그렇다"고 공감했다.유 전 의원은 "개인의 선택에 맡길건가. 이게 반려동물 학대하고도 직결되는 문제다"라고 말을 이어갔고 윤 전 총장은 "반려동물 학대하는 게 아니고 식용개는 따로 키우지 않나"라고 했다.
유 전 의원이 "같은 개 아닌가"라고 되묻자 윤 전 총장은 "하여튼 반려동물 관련해서는 우리 가족에 준해서 대우를 해야한다"고 했다.
이어 "식용개라고 하는 게 진짜 이해가 안된다"는 유 전 의원의 지적에 "개인적으로 반대다. 안된다 생각한다"면서도 "법으로 제도화하는데는 여러 사람의 합의가 필요하다"고 일관된 입장을 전했다.윤 전 총장은 개 식용에 대해 반대라는 개인적 입장을 재차 밝혔지만 '식용 개'가 엄연히 존재하는 현실을 말하는 과정에서 논란에 휘말리게 된 것으로 보인다.
개 식용에 대한 문제 제기는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시작돼 30여년간 이어져 왔다. 과거에는 복날에도 보신탕을 먹는 등 보신탕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하지만 사회적 거부감이 커지면서 국내 ‘3대 개시장’으로 불렸던 경기 성남 모란시장, 부산 구포시장, 대구 칠성시장 중 현재 개시장을 유지하는 곳은 칠성시장뿐이다.
칠성시장 역시 도살장은 모두 없어지고, 건강원과 보신탕집만 남았다.
선호도와 별개로 법으로 개 식용 금지를 규제하는 것은 과도하다는 의견도 많다. 지난 6월 여론조사 전문회사 리얼미터가 성인 1012명을 상대로 진행한 조사에서 응답자 72.1%는 개고기 섭취를 ‘개인 결정에 맡겨야 한다’고 했다. 법으로 규제하기보다는 자연 소멸에 맡겨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법제화를 반대하는 쪽에서는 관련 업종 종사자의 생존권과 소비자의 선택권을 주요 근거로 내세운다. 주영봉 대한육견협회 사무총장은 “우리나라 인구 중 1000만명 정도가 개고기를 먹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법으로 막는 건 이들을 범법자로 만들고 보신탕 업체 등의 직업 선택권을 침해하는 일”이라고 반발했다.
반려견과 식용견을 구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리얼미터 조사에서 응답자 50.7%는 개 식용과 반려목적을 구분·분리하는 법 발의에 동의한다고 했다.하지만 현실적으로 같은 종(種)인 개를 반려용과 식용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냐는 문제에 직면하고, 잔인한 도살·사육 환경 등 동물 학대를 막을 수 없다는 비판은 이어지고 있다.
이미나/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