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뻬 입고…아궁이에 불 때고…소박한 밥상도 꿀맛
입력
수정
지면A18
Cover Story
산시세끼…강원 영월서 촌캉스 해보니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7969347.1.jpg)
몸뻬 바지 입고 ‘산골 갬성’
삼방산 중턱에 있는 강월 영월 산골흙집을 찾은 것은 지난달 10일. 단풍이 무르익기 전 가을바람이 솔솔 불 때였다. 서울역에서 200㎞ 가까이 떨어져 3시간 차를 타고 달려온 곳. 평소 ‘말 많은’ 4명도 이곳에 도착한 직후엔 멍하니 경치 감상에 잠겼다. 시선이 닿는 모든 곳이 조망점이었다. “평창 영월 정선 세 곳을 한눈에 볼 수 있다고 해서 삼방산이란 이름이 붙었어요. 경치가 맛깔나지요?” 산골흙집 사장의 기척에 몸을 움직였다.흙집은 고요했다. 부엌 딸린 넓은 방 하나에 화장실 한 칸. 집안에서도 경치가 한눈에 보일 정도로 넓은 창이 있었다. 산골흙집 사장은 나무 땔감을 가져와 아궁이에 넣었다. 타닥타닥 나무 타들어 가는 소리에 ‘옛날 감성’이 꿈틀거렸다.촌캉스 분위기를 살려볼까. 각자 여행 가방에 넣어온 꽃무늬 몸뻬 바지를 꺼내 입었다. 호텔에서 ‘파자마 파티’를 한다면 촌캉스에선 ‘몸뻬 파티’다. 움직임이 편해졌다. 다 함께 스트레칭을 했다. 산골 공기를 들이마시니 산뜻했다. “오길 잘했다. 2박3일 동안 시내도 나가지 말고 여기에만 있자.”
툇마루에 눕기만 해도 힐링
![](https://img.hankyung.com/photo/202111/AA.27960132.1.jpg)
산골흙집 사장은 “2~3년 전엔 나이가 많거나 건강이 좋지 않은 이들이 휴식을 취하려고 이곳을 찾았지만 요즘은 다르다”며 “올 들어선 이용자의 70~80%가 20~30대일 정도로 ‘젊은 촌캉스족’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는 촌캉스의 대표 매력을 ‘자연 속 무념무상’이라고 꼽았다. 바쁘게 살던 도심에서 벗어나 시골의 정취를 온전히 느끼며 쉴 수 있기 때문이다. 방 안에 컴퓨터와 TV도 없다. ‘산등성이가 원래 저렇게 고왔나.’ 있는 그대로의 자연에 푹 빠져버리고 만다.
이곳에선 밥도 손수 지어 먹는다. 배달음식도 불가능하다. 미리 준비해 온 재료로 된장찌개, 찜닭을 만들어 먹었다. 요리하는 재미도 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의 주인공이 된 것 같다. 어둑어둑해질 때쯤 와인 한 잔을 기울였다. ‘짠’ 잔이 부딪치는 소리 사이로 풀벌레가 찌르릉 울어댔다. 밤하늘의 별도 감상했다. 서울에선 보기 어렵던 별, 이렇게 많았던 걸까. “낭만적인 밤이야.”
럭셔리 호텔과는 다른 매력
다만 촌캉스 입문 때 주의할 점도 있다. 주변 편의시설이 없으니 식재료 등은 미리 챙기는 게 좋다. 모기향이나 벌레기피제도 필수 준비물이다. ‘영월 촌캉스 4인방’은 내년에도 다른 계절에 촌캉스를 가기로 했다. 산골짜기에서 누린 ‘마음의 평온’. 또 느끼고 싶다.
정지은/정소람/김채연/나수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