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정상이 '척결대상 1호'로 꼽은 메탄이 뭐길래

지난 2일 열린 제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척결대상 1호’로 꼽힌 온실가스는 메탄이었다. 산업 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아닌, 주로 가축 배설물에서 나오는 메탄을 줄여야 한다고 주요국 정상들이 대대적으로 협의하게 된 배경은 뭘까?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영국을 포함한 세계 100여국은 2030년까지 세계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 줄이자는 ‘국제 메탄서약’을 체결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과 함께 교토의정서에서 정한 6종 온실가스 중 하나다. 메탄이 전체 온실가스 중 차지하는 비중은 5% 남짓에 불과하다. 이산화탄소가 80%인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매우 적다. 그럼에도 각국 정상들이 메탄 배출을 줄여야 한다고 입을 모은 이유는 지구가 더워지는 정도를 수치로 계산한 지구온난화지수(GWP)가 높기 때문이다. ‘온실가스 6종 중 가장 강력하다’는 게 업계 설명이다. 메탄의 GWP 지수는 100년 기준 21로 이산화탄소(1)보다 20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온실가스들은 수명이 다 달라 20년, 50년, 100년 등 일정기간을 기준으로 GWP 지수를 비교하는데 20년 기준으로는 87배에 이른다는 설명이다.

메탄은 축산업 유기물이나 하수구 쓰레기가 분해될 때도 발생하지만 석유화학의 원료인 나프타를 정제할 때도 발생한다. 다만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은 나프타 정제 시 생기는 메탄을 모아다가 열을 떼는 연료로 재사용하기 때문에 배출량 자체는 문제가 없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정 상에서 나오는 메탄 자체보다 메탄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문제”라고 말했다. 업체들이 메탄을 잡는 기술보다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CCU(이산화탄소 포집·활용) 기술 등에 집중하고 있는 배경이다.

원유나 천연가스 시추 및 저장, 수송 과정에서도 메탄이 발생한다. 국내 정유사들은 원유를 직접 시추하는 게 아니라 수입을 해오기 때문에 직접적인 문제는 없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은 계속 예의주시하는 중”이라며 “축산업이나 농업을 기반으로 하는 국가는 고민이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중국의 메탄 배출량은 연간 10억~12억t으로 지구 전체 배출량의 약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COP26 총회에 중국은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서약의 실효성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남정민 기자 peux@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