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창] 기후변화에 도전하는 영국의 전략

발전·교통·항공업 탄소감축 목표 세워
英 450개 기업 '골드표준' 제정키로

김종민 < 英 케임브리지대 전기공학과 교수 >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가 지난 12일 폐막했다. 총회 마지막에 미·중 온난화 협력, 2030년까지 105개국 삼림벌채 완결과 메탄가스 축소, 2040년대까지 40개국 석탄산업 퇴출, 오일·가스산업의 새로운 정책 합의가 도출됐다. 이런 움직임에 영국 정부의 대책은 어떨까?

우선 발전 분야는 2035년까지 가스 기반 화력발전소를 폐쇄하기로 했다. 대비책으로 2030년 전체 영국 가정에 필요한 40GW 규모의 해상풍력을 확대할 예정이다. 하지만,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증가에 따른 예산 관련 대응책이 시급하다. 열관리 분야는 총 14%의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보일러의 대안으로 2028년까지 친환경 히트펌프 60만 개를 설치할 계획이다. 이미 2년 전 3만5000개의 히트펌프 설치를 완료했다. 자동차·교통 분야는 2030년 휘발유·디젤차 판매 금지에 이어 2040년부터 탄소제로 운송수단만 판매를 허용할 예정이다. 전기차는 지난해 영국 전체 차량 판매량의 10%를 차지했다. 현재 2만5000개인 전기차 충전소를 2030년까지 약 열 배까지 확충해야 한다. 항공산업은 국내선은 2040년, 국제선은 2050년까지 탄소제로 항공기를 투입할 계획이다. 하지만, 과학적인 혁신이 필요하다. ㎞당 승객 한 명의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국내선이 254g, 국제선이 195g이다. 승용차(171g), 버스(104g), 기차(41g), 유로스타(6g)보다 많다.영국기후변화위원회(CCC)는 농산품 분야의 CO2 방출을 2035년까지 30%로 줄여야 한다고 권고했다. 육류 및 낙농 섭취를 2030년까지 평균 20% 줄이고, 농업용지를 산림으로 전환해 식품 폐기물을 최소화할 것을 제안했다. 탄소제로 핵심 역할을 하는 산림 분야는 2025년까지 매년 축구장 3개 면적 규모(3만㏊)의 나무를 심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하지만, 그 넓은 땅을 어떻게 조성할 것이며 관리는 어떻게 할 것인지 불명확하다. 저탄소 미래 연료인 수소에너지 분야는 2030년에 5GW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다. 수소에너지는 산업화 초기 단계이고, 아직까지 세계적으로도 저탄소 수소 생산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수년 내에 핵심 양산 기술 개발이 시급하지만 기술표준화가 매우 어렵다. 영국 정부는 2026년 각 가정의 난방에 수소를 쓰겠다고 발표했다. 탄소 포획·저장 분야는 2030년까지 매년 2000만~3000만t의 탄소 포획·저장 목표를 세웠다. 탄소 포획 기술은 초기 단계이고 비용도 크다. 이를 위해 나무 4000만 그루가 CO2를 포획하는 규모의 연구시설을 스코틀랜드에서 운용하고 있다. 현재 탄소 포획 첨단연구센터인 하이넷 클러스터와 험버·티사이드 클러스터를 집중 지원하고 있다. 2035년까지 산업계는 CO2 배출량을 3분의 2가량 줄일 예정이다. 탄소 포획과 수소 전환은 아주 중요하지만 과학적 혁신이 필요하다. 영국은 매년 각 부문의 CO2 총배출량 상한선과 감소량을 관리하며, 다른 국가와의 연계도 명확히 하겠다고 밝혔다.

전체 탄소제로 실천을 위해 전 세계 금융 자산의 40%를 차지하는 영국 내 450개 기업도 참여한다. 이들 기업은 과학 기반의 ‘골드표준’을 마련해 세계 경제 공동체를 지원키로 했다. 한국도 벤치마킹하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