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막히자…금리 年 9% 대부업체로 주담대 몰린다
입력
수정
지면A14
대부업은 대출 총량규제 없어고향인 경북 포항에 빌라 한 채를 두고 서울에서 소형 아파트에 살고 있는 A씨는 내년 1월 이사를 앞두고 잔금을 치르기 위해 대부업 대출을 고민하고 있다. 2주택자인 A씨는 은행은 물론 저축은행, 상호금융권에서도 대출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망설이는 A씨에게 한 대출상담사는 “대부업 대출은 짧게 쓰고, 등기 후 3개월이 지나면 2금융권 개인사업자 대출로 갈아타면 된다”며 “중도상환수수료도 3%라 부담이 낮은 편”이라고 귀띔했다. 대출금리도 연 8.8%로 생각보다 높지 않았다.
1·2금융서 퇴짜 맞은 소비자
대부업체 후순위대출로 눈 돌려
단기로 빌려 급전 해결한 후
개인사업자 대출 전환 '꼼수'도
은행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대부업으로 눈을 돌리는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1·2금융권은 대출 한도가 급감하고 금리도 하루가 다르게 뛰고 있는 반면, 규제 밖에 있는 대부업은 주택 시세의 90%까지 빌릴 수 있는 데다 최근 들어 더 많아진 급전 수요를 겨냥해 대출 금리를 오히려 내린 업체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개인사업자 대출로 주택 자금을 마련하려는 '꼼수 대출'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총량을 억누르는 식의 대출 규제가 고금리 대출과 편법을 부추긴다는 비판이 나온다.
○대부업 주담대 만기 1~5년으로 짧아
17일 한 대부중개업체 상담 결과 서울 노원구 월계동의 시세 6억8800만원짜리 전용면적 59㎡ 아파트에 대해 선순위 대출 3억3000만원이 있는 경우 A대부업체는 금리 연 8.9%에 2억2300만원까지 후순위 대출이 가능하다고 안내했다. 서울 강남구의 J대부업체도 같은 물건에 대해 연 7~8%대 금리로 주택담보대출을 내줄 수 있다고 했다.이 관계자는 “1·2금융권 대출 한도가 줄면서 매매 잔금이 모자란 매수자들이 후순위 대출을 받으려고 넘어오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본인이 거주하는 데다 신용도가 높아 낮은 금리에 대출을 내주기에 무리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들을 흡수하려고) 대부업체들이 금리를 내리고 있다”고 설명했다.실제 A대부업체가 제시한 금리 연 8.9%는 지난 8월보다 1%포인트 내린 것이다. 반면 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는 8월 말 연 2.92~4.42%에서 16일 연 3.77~5.068%로 최저금리 기준으로 0.85%포인트 올랐다. 8월은 금융당국의 대출 총량 규제가 본격화된 시점이기도 하다. 대부업 대출 금리는 최저 연 5.99% 수준인 저축은행 주담대 금리와 비교해도 격차가 줄어드는 추세다.
대부업 주담대는 만기가 1~5년으로 짧다. 은행 대출은 30년 만기가 통상적이다. 한 대출상담사는 “대부업 대출은 단기로만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일단 급전을 해결하고 사업자등록을 한 뒤 3개월 후 자가를 담보로 저축은행이나 상호금융에서 개인사업자 대출을 받아 대환하면 부담도 크지 않기 때문에 이런 방법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고 했다.
○소비자 신용엔 ‘빨간불’
대부업 대출은 소비자 신용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이 불가피하다. 또 한 자릿수 금리를 내걸고 적극적으로 고객을 모집하는 대부업체는 규모가 크고 잘 알려진 곳이 아니라 중소형 업체가 대부분이다. 선택지가 좁아진 소비자는 일단 대출을 받으면서도 업체의 리스크 관리 역량이나 신뢰도에 불안을 느낄 수밖에 없다.한국개발연구원(KDI)은 “대출 총량 규제가 사전에 충분히 소통이 되지 않았다”며 “예상치 못한 강도 높은 유동성 위험에 직면한 가계가 고금리 대출이나 사금융으로 전환해 오히려 금융 건전성에 불안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안동현 서울대 교수는 “총량 규제가 아니었으면 위험성도 낮은 담보대출 차주가 대부업까지 갔겠느냐”며 “집값 때문에 대출 수요가 줄지 않는 상황에서 총량 규제와 같은 수요 억제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고 말했다.
빈난새/박진우 기자 binther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