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머니 가벼워져…참치·대게 못 사먹는 일본인

가난해진 '세계 3위 경제대국' 日

韓 급여 23년 동안 58% 늘 때
日은 9.7% 줄며 살림 팍팍해져
1엔이라도 아끼려 100엔숍 활황

생산·임금·소비 '경제 3박자' 삐걱

아베노믹스도 디플레엔 속수무책
기업, 원가 급등에도 가격 못 올려
애니·콘텐츠社 인재 中 유출 심각
일본 최대 100엔숍 브랜드 다이소는 세계 각지에 진출해 있다. 판매 가격이 일률적으로 100엔(일본 소비세 인상으로 현재 가격은 110엔)이어서 100엔숍으로 불리지만 다른 나라에선 사정이 다르다.

미국 다이소의 가격은 1.5달러(약 165엔)다. 중국에선 10위안(약 170엔), 베트남 4만동(약 193엔), 태국에선 60바트(약 200엔) 등으로 모두 100엔을 훌쩍 넘는다. 100엔이 안 되는 곳은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 다이소의 균일가 1000원을 엔화로 환산하면 94엔이다.○“고급 참치·대게 못 먹는 시대 됐다”

세계의 물가 수준을 비교할 때 쓰이는 맥도날드 빅맥 가격만 보더라도 일본의 물가는 두드러지게 낮다. 1990년 일본에서 370엔이던 빅맥 가격은 현재 390엔이다. 30년 동안 거의 오르지 않았다. 반면 같은 기간 미국의 빅맥 가격은 2.2달러에서 5.7달러로, 중국은 8.5위안에서 22.4위안으로 각각 뛰었다.

민영 방송사 TV도쿄에 따르면 도쿄 직장인의 평균 점심값은 649엔(약 6700원)이다. 뉴욕의 평균 15달러(약 1만7700원), 상하이 평균 60위안(약 1만1000원)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세계 3위 경제대국 일본이 부쩍 가난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일본의 급여 수준은 1997년을 100으로 봤을 때 작년 말 90.3으로 떨어졌다. 한국은 158, 미국과 영국은 각각 122와 130이었다. 한국인의 급여가 23년 동안 58% 늘어날 때 일본은 반대로 10% 감소한 것이다.

실질 월급이 줄어들자 일본이 자랑하는 식도락 문화도 움츠러들고 있다. 참치를 최고 횟감으로 치는 일본인은 세계에서 잡히는 참치의 25%를 소비한다. 하지만 최근 최고급 참치는 대부분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로 향한다. 일본 수산업체들이 최고급 참치 경매에서 번번이 패해서다. 고급 식재료를 수입하는 일본 식품업체 마루하니치로의 전체 수입량은 9년 새 60% 감소했다. 이케미 마사루 마루하니치로 사장은 “10년 전만 해도 일본 식품업체들이 고급 식료품 경매에서 중국 등 신흥국에 밀리는 게 화제였지만 이제는 일상이 됐다”고 했다.

일본 식품업체들이 경매에서 밀리는 것은 고가에 낙찰받은 식재료를 사줄 일본 외식업체가 별로 없어서다. 30년째 소득 수준이 제자리다 보니 외식업체들은 손님이 떨어져나갈 것을 우려해 가격을 올리지 못한다. 대신 도매업체에는 매입 가격을 한푼이라도 더 깎으려고 든다. 공급 가격은 뛰는데 매입 가격을 올릴 수 없으니 경매에서 이길 수 없다는 게 일본 식품업체들의 하소연이다.대게 값은 10년 새 2.5배 올라 대다수 일본인에게는 그림의 떡이 됐다. 결국 최상급 참치와 대게는 소득 수준이 높아져서 고가 식재료가 인기인 중국과 동남아로 팔려나간다. 일본인들에게 오는 것은 가격이 저렴한 만큼 질도 떨어지는 식재료들이다. 일본 유통 전문가들이 “일본인들은 더 이상 고급 참치나 대게를 못 먹게 됐다”고 한숨 쉬는 이유다.

○글로벌 서비스도 ‘가난한 일본’ 배려

월급이 안 오르니 일본인들은 1엔이라도 싼 제품을 찾는다. 기업은 1엔이라도 판매 가격을 낮추는 데 사활을 건다. 1엔에 목숨을 거는 일본 소비시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100엔숍의 성장이다. 100엔숍은 현재 일본에서 오프라인 시장 가운데 유일하게 성장하는 분야다. 성장 정체를 벗어나려는 대형 유통회사까지 100엔숍에 새로 뛰어들고 있다.일본 물가가 30년 동안 오르지 않는 사이 다른 나라의 물가는 꾸준히 오른 결과 일본의 상대적 빈곤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을 찾는 외국인들은 “살인적인 일본 물가는 옛말”이라고 입을 모은다.

애플의 최신형 아이폰 가격은 일본인 평균 월급의 45%다. 미국인은 월급의 25%면 구입할 수 있다. 2009년에는 일본인도 월급의 20%면 아이폰을 살 수 있었다. 글로벌 서비스가 ‘가난한 일본인’을 배려해주는 사례까지 나타났다. 엔화로 환산한 미국과 영국의 아마존닷컴 프라임 회원 연회비는 1만3000엔과 1만2000엔이다. 일본(4900엔)의 두 배를 넘는다.

오르지 않는 물가는 국가 경쟁력까지 갉아먹고 있다. 일본 애니메이션업계에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일본 작품이 더 이상 나오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인재들이 중국으로 빠져나가고 있어서다.

일본애니메이터·연출협회에 따르면 일본 애니메이터의 54.7%가 1년에 400만엔도 못 번다. 민간기업 평균인 436만엔을 크게 밑돈다. 협회에 가입하지 않은 중소·영세 제작사 소속 애니메이터의 처우는 훨씬 열악하다.

이를 틈타 중국의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은 월급을 50만엔 이상 제시하며 일본 애니메이터를 빼가고 있다. 중국 텐센트 계열사가 출자한 일본 현지 애니메이션 제작사의 인력은 3년 새 세 배 늘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비는 미국과 중국 동영상 스트리밍 대기업의 70% 수준까지 낮아졌다.

○원가는 뛰었지만 가격 전가 못해

생산단가는 오르는데 판매 가격을 쉽게 올리지 못하는 기업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10월 기업이 원재료를 조달하는 물가 수준을 보여주는 기업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8.0% 뛰었다. 1981년 이후 40년 만에 가장 큰 상승폭이다. 반면 9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0.1%였다. 9월 기준 기업의 원자재값은 51% 뛰었는데 최종 완제품 가격은 2.9% 오르는 데 그쳤다. 비용이 기록적으로 올랐지만 기업들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이익이 늘어나지 않으니 임금을 못 올리고, 임금이 안 오르니 소비도 늘지 않는 악순환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일본 재무성에 따르면 일본의 개인소비는 2000년 이후 20년 동안 58조엔 줄었다. 연간 국내총생산(GDP)의 10%를 넘는 규모다.2013년 아베 신조 총리 집권 이후 일본 정부는 장기적으로 물가가 오르지 않는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기 위해 10년 가까이 무제한으로 돈을 풀었다. 하지만 일본 경제는 30년째 디플레이션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2013년 초 취임 당시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2~3년 내 물가상승률을 2%로 끌어올릴 것”이라고 자신했다.

하지만 지난 4월 “(내년 4월까지인) 임기 동안 물가상승률 목표치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발을 뺐다. 도쿄=정영효 특파원 hu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