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명철의 한국, 한국인 이야기] 요·송 갈등 속…줄다리기 외교·무역으로 성장

(74) 고려의 등거리 외교
한·중 간의 고대 항로를 추적한 뗏목 동아지중해호
고려 500년 동안 동아시아에서는 요나라·송나라·서하·금나라·원나라(몽골)가 치열한 전쟁을 벌이면서 흥망을 거듭했다. 일본 또한 내부 갈등으로 혼란이 끝없었다. 이렇게 복잡하고, 유동적이고, 전쟁으로 점철된 국제 질서 속에서 고려를 성공시킨 외교정책의 실상은 무엇이며, 그것은 현재 어떤 교훈을 줄 수 있을까.

고려의 외교정책을 중국 지역의 상황과 연관 지어 단계별로 살펴보자. 후삼국 시대에 중국 지역은 남과 북에서 15개의 나라가 70여 년 동안 명멸하는 5대 10국이라는 대분열 시대(907~979년)였다. 만약 당나라가 존속했다면 통일신라의 내정에 간섭했고, 고려는 통일이 불가능했을 가능성이 크다. 천운인지, 이후에도 중국은 40년 동안 분열이 계속됐다. 만주에서는 거란족을 통일한 야율아보기가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켰고, 947년에는 요나라를 건국하면서 만리장성을 넘어 연운 16주(만리장성 남쪽의 북경 등 지역)를 차지했다.요나라는 배후가 되는 고려를 우호세력으로 만들 필요 때문에 사신을 계속 파견해 국교를 맺을 것을 요구했다. 고려는 발해를 멸망시켰고 국경선을 접한 요나라와는 불편한 관계였으나, 요나라를 배척할 수는 없었다. 반면에 송나라는 문화와 경제, 무역을 중시하는 국가였고, 황해로 인해 군사적인 충돌의 가능성은 적었다. 하지만 막강한 군사력을 갖춘 요나라에 대항해 송나라와 동맹관계를 맺을 수는 없었다. 그러자 다급해진 송나라는 고려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았다. 심지어는 고려와 요의 관계를 의심해 외교의 중단이라는 파국 상태까지 이르렀다. 이때 특사 형식으로 바다를 건너가 송태조를 설득해서 7년 동안 단절된 외교관계를 복원시킨 인물이 젊은 서희(942~998년)다.

11세기 후반 생존과 이익 놓고 치열한 외교·군사전

11세기 중엽에 들어와 송나라는 성장했고, 왕안석(1069~1076년)을 비롯한 자주적인 신파들은 요나라와 맺은 불평등 관계를 깨자는 주장을 했다. 한편 내몽골과 간쑤성 지역에서 일어난 서하(1038~1227년)는 송나라와 화전양면책을 구사하면서 강국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송나라는 1071년에 상인을 이용해 고려에 국교를 맺을 것을 제안했다. 고려는 절호의 기회라고 판단해 곧바로 사신을 파견했다. 그러자 송나라는 1083년에 고려의 문종이 죽자 조위사절단을 파견해 요나라를 공동 공격할 것을 제안했다.

11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역학관계는 자국의 생존과 이익을 놓고 치열한 외교전과 군사전을 펼쳤다. 고려와 북방의 요나라, 중국 지역의 송나라, 몽골 지역의 서하를 주축으로, 만주 일대의 여진, 일본 등의 주변 세력들이 이합집산했다. 고려는 송과 요나라의 갈등을 적절하게 활용해 철저한 등거리 외교를 실시하면서 다양한 이익을 챙겼다.

송나라와 금나라의 충돌과 고려의 등거리 외교

12세기에 들어오면서 동아시아 세계에서는 또다시 대변화가 발생했다. 만주에서 성장한 여진족이 요나라를 1125년에 멸망시켰고, 1126년에는 금나라를 건국한 뒤 수도를 남쪽의 임안(항주)으로 옮긴 남송과 전쟁 상황에 돌입했다. 고려로서는 또다시 복잡한 상황에 직면했다. 1127년에 송나라에서 고종이 즉위하자 고려는 김부식 등을 축하 사절로 파견했지만, 끝내 수도까지 갈 수 없었다. 고려 사신들이 자국을 정탐해 금나라에 정보를 줄까봐 의심한 탓이다. 다음해인 1128년에 고려에 사신을 파견해 공동 군사작전을 재차 요구했으나 고려의 거부로 뜻을 이루지 못한 채 귀국했다. 그러자 조정은 매우 격노했고, 바다를 건너 고려를 정벌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황비청천명 청동거울
그럼에도 고려는 끝까지 송과 금나라의 충돌에 직접 개입하지 않으면서 철저한 등거리 외교로 평화와 이익을 챙겼다. 고려는 일본과도 교섭을 벌여 통일한 직후인 937년부터 몇 차례 사신을 보냈으나 교섭은 활발하지 않았다. 12세기 후반부터 무신정치가 시작되면서 전쟁 등의 갈등 때문에 고려에는 위협적이지 못했으며, 국제적으로도 전략적인 가치가 약했다. 다만 유구국(오키나와)은 무역 상대로서 가치가 있었다.

고려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해양을 중시하며, 무역정책을 권장해 경제적으로 성공한 송나라를 활용해 산업과 상업을 발달시켰다. 또한 동남아시아·인도·아라비아·중앙아시아로 이어지는 유라시아 무역망에 진입해서 국부를 증대시켰고, 세계 질서에 눈을 떴다.특히 유학을 비롯해 문인화와 시·도자기 등의 예술, 불교 등을 수입해 문화를 성숙시키는 데 활용했다. 하지만 송나라의 지나친 문치주의는 훗날 고려사회가 약화되고, 멸망하는 데 촉매제 역할을 했다.

√ 기억해주세요

동국대 명예교수·사마르칸트대 교수
후삼국 시대에 중국 지역은 남과 북에서 15개의 나라가 70여 년 동안 명멸하는 5대 10국이라는 대분열 시대(907~979년)였다. 만약 당나라가 존속했다면 통일신라의 내정에 간섭했고, 고려는 통일이 불가능했을 가능성이 크다. 천운인지, 이후에도 중국은 40년 동안 분열이 계속됐다. 만주에서는 거란족을 통일한 야율아보기가 926년에 발해를 멸망시켰고, 947년에는 요나라를 건국하면서 만리장성을 넘어 연운 16주(만리장성 남쪽의 북경 등 지역)를 차지했다. 그러자 4대 광종은 패권국가의 진공 상황을 활용해 외세의 간섭 없이 권력 기반을 강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