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 청정수소 100%"…실현 방안은 있나

정부 수소경제 기본계획 발표

전국 시·군·구에 충전소 1기 이상
2050년 수소차도 526만대로↑
청정수소 자급률 60%로 상향

수전해·CCS 기술 키운다지만
아직 개발 단계 '걸음마' 수준
너무 앞서나간 수소경제 로드맵
정부가 국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수소를 2050년까지 100% 청정수소로 공급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청정수소 공급을 대폭 확대하는 한편 수소차, 수소발전 등 사회 전반의 수소 사용을 일상화하고 국내 최대 에너지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청정수소를 대량으로 확보하기 위한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정부 계획이 구체적 방법 없이 낙관론에 기댄 ‘장밋빛 전망’에 불과하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그레이 수소는 ‘퇴출’

김부겸 국무총리는 26일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은 지난 2월 수소법이 시행된 이후 처음으로 확정된 법정 기본계획이다. 향후 국내 수소 보급 및 활용 확대를 위한 로드맵 역할을 하게 된다.

정부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국내 수소 공급량 중 청정수소 비중을 현재 0%에서 2030년 75%, 2050년에 100%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청정수소란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만든 ‘그린수소’와 수소 생산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포집·저장해 대기 중 탄소 배출량을 크게 줄인 ‘블루수소’를 의미한다. 현재 국내에서 쓰이는 모든 수소는 액화천연가스(LNG) 등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그레이 수소’로 생산 과정에서 환경오염을 유발한다.정부는 올해 22만t에 불과한 국내 수소 사용량이 2030년 390만t, 2050년 2790만t으로 불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최종적으로 2050년엔 수소가 소비되는 에너지의 33%를 담당해 석유를 제치고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이처럼 급증하는 수소 수요를 그레이 수소가 아닌 청정수소로 모두 대체하기 위해 정부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2025년까지 상용화할 방침이다. 또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수전해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수전해 설비 보급 확산을 위한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등 제도적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또 국내 자본과 기술을 투입해 해외에서 안정적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2050년까지 40개의 해외 수소 공급망을 구축할 예정이다. 국내 수소 생산량과 해외에서의 수소 생산량을 합쳐 청정수소 자급률을 2050년까지 60%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다.

목표 달성 방법은 ‘모호’

정부는 국민 일상생활에서의 수소 사용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작년 기준 70기에 불과한 수소 충전소를 2025년까지 450기, 2030년까지 660기로 확충하기로 했다. 2025년까지는 정부, 공기업 등 공공이 주도해 원칙적으로 전국 226개 시·군·구마다 최소한 1기 이상의 수소충전소를 지을 계획이다. 또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내년까지 셀프충전 관련 안전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현재 1만여 대에 불과한 수소차가 2050년엔 526만 대로 늘어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하고 있다.이처럼 수소 사용 확산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수소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다만 청정수소 개발과 발전·산업 분야에서의 수소 활용 로드맵이 아직 현실성이 부족하다는 건 문제로 꼽힌다.

정부가 이번 기본계획에서 내세운 CCS 기술은 여전히 개발 단계에 있어 활용 가능 여부가 불투명하다. 또 수소발전 일환으로 내세운 석탄과 암모니아의 혼소발전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암모니아 생산 원료인 수소가 청정수소가 아니라면 비용만 많이 들 뿐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정의진 기자 just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