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년 잠재성장률 -0.56%"…한은 전 조사국장의 경고 [김익환의 BOK워치]
입력
수정
장민 금융硏 선임연구위원 분석
부정적 시나리오 전제로 산출
자본 증가율 획기적으로 늘어도
2045년 잠재성장률 1%대 턱걸이
"구조개혁 절실해...노동교육 개혁해야"

장민·박성욱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30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창립 30주년 기념 국제 콘퍼런스'에서 이 같이 밝혔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2015~2018년 한은 조사국장을 역임했다. 조사국장은 통화정책국장과 함께 핵심 보직으로 꼽히는 자리로 한은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평가받는다.
장 선임연구위원 등은 2020년 2%인 한국의 잠재성장률이 2045년에는 -0.56%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잠재성장률을 구성하는 노동 자본 생산성 증가율이 앞으로 꾸준히 감소할 것이라는 '비관적 시나리오'를 전제로 산출한 수치다. 비관적 시나리오에서는 한국의 노동과 자본, 생산성을 총동원해도 역성장을 피할 수 없다는 뜻이다.

저출산·고령화는 다양한 경로를 거쳐 한국 경제 활력을 갉아먹고 있다. 한은 조사국이 이날 발표한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흑자 요인 분석' 보고서를 보면 고령화로 노인 부양비용이 불어나고 그만큼 가계저축률이 감소한다. 저축률이 하락하면 금융회사의 자산이 줄어들고 그만큼 기업 대출 여력도 쪼그라든다. 자금조달 능력이 약화되면서 기업의 설비투자도 약화된다. 고령화로 노인 복지 지출이 확대되면서 재정수지가 악화되는 것도 성장여력을 갉아 먹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장 선임연구위원은 정부의 구조개혁이 절실하다고 입을 모았다. 그는 "소득 양극화를 완화하는 동시에 지역격차를 좁혀야 한다"며 "노동시장·교육 개혁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로 빨라진 디지털화, 기후변화 및 글로벌지역주의에 대응하고 가계부채와 저출산고령화 해법도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